1600년대 초간목판본 안동출신 풍산유씨 유성룡(柳成龍) 서애선생문집(西厓先生文集) 8책 > 고서적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전화문의

010-3845-4358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1600년대 초간목판본 안동출신 풍산유씨 유성룡(柳成龍) 서애선생문집(西厓先生文集) 8책
    1600년대 초간목
    8,000,000
  • 연대가좋은청화백자해태용 완
    연대가좋은청화백자해
    20,000
  • 석판본 조장섭(趙章燮) 위당선생문집(韋堂先生文集)권5,6 1책
    석판본 조장섭(趙章
    30,000
  • 1930년 경성刊 무쌍 초간독(草簡牘)권2  1책
    1930년 경성刊
    100,000
  • 1954년초판 徐廷柱,朴木月,趙芝薰 시창작법(詩創作法)
    1954년초판 徐廷
    300,000

커뮤니티 최신글

접속자집계

오늘
3,707
어제
11,285
최대
13,072
전체
8,307,395

옛날물건 재고 현황

고서적
3,524,205,000원/14,226건
근대도서
3,204,413,500원/40,143건
근대시집
378,257,500원/2,683건
희귀고서적
1,123,620,000원/2,773건
교과서
444,345,000원/5,513건
간찰
68,145,000원/1,219건
한국미술품
429,165,500원/3,642건
일본미술품
1,009,169,500원/23,873건
중국미술품
512,989,000원/9,842건
기타
1,083,555,500원/11,452건
전체합계
11,777,865,500원/115,366건
1600년대 초간목판본 안동출신 풍산유씨 유성룡(柳成龍) 서애선생문집(西厓先生文集) 8책 > 고서적

1600년대 초간목판본 안동출신 풍산유씨 유성룡(柳成龍) 서애선생문집(西厓先生文集) 8책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상품코드 1742272971
제조사 또는 연대 1600년대
원산지 한국
판매가격 8,000,000원
포인트 80,000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선택된 옵션

  • 1600년대 초간목판본 안동출신 풍산유씨 유성룡(柳成龍) 서애선생문집(西厓先生文集) 8책
    +0원
위시리스트

상품 정보

상품 상세설명

상태좋음(권7은 맨앞3장 상단에 일부 떨어지고 없음)

크기:20*30.5센치

보내1층18상3

권 목록,1,2,7,8,11~20終

**조선시대 이조판서,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풍산(). 자는 이현(), 호는 서애(西). 의성 출생. 유자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공작()이다. 아버지는 황해도관찰사 유중영()이며, 어머니는 진사 김광수()의 딸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김성일()과 동문수학했으며 서로 친분이 두터웠다.1564년(명종 19) 생원·진사가 되고, 다음 해 성균관에 들어가 수학한 다음, 1566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권지부정자가 되었다. 이듬해 정자를 거쳐 예문관검열로 춘추관기사관을 겸직하였다.1568년(선조 1) 대교, 다음 해 전적·공조좌랑을 거쳐 감찰로서 성절사(使)의 서장관()이 되어 명나라에 갔다가 이듬해 돌아왔다. 이어 부수찬·지제교로 경연검토관()·춘추관기사관을 겸한 뒤, 수찬에 제수되어 사가독서()를 하였다. 그 뒤 정언()·병조좌랑·이조좌랑·부교리·이조정랑·교리·전한·장령·부응교·검상·사인·응교 등을 역임한 뒤, 1578년 사간이 되었다.이듬해 직제학·동부승지·지제교로 경연참찬관()·춘추관수찬을 겸하고, 이어 이조참의를 거쳐 1580년 부제학에 올랐다. 1582년 대사간·우부승지·도승지를 거쳐 대사헌에 승진해 왕명을 받고 「황화집서()」를 지어 올렸다.1583년 다시 부제학이 되어 「비변오책()」을 지어 올렸다. 그 해 함경도관찰사에 특별히 임명되었으나 어머니의 병으로 사양하고 나가지 않았다. 이어 대사성에 임명되었으나, 역시 사양하고 부임하지 않다가 경상도관찰사에 임명되었다. 다음해 예조판서로 동지경연춘추관사()·제학을 겸했으며, 1585년 왕명으로 「정충록발()」을 지었고, 다음 해 『포은집()』을 교정하였다.1588년 양관대제학에 올랐으며, 다음해 대사헌·병조판서·지중추부사를 역임하고 왕명을 받아 「효경대의발()」을 지어 바쳤다. 이 해 정여립()의 모반사건으로 기축옥사가 있자 여러 차례 벼슬을 사직했으나, 왕이 허락하지 않자 소()를 올려 스스로 탄핵하였다.1590년 우의정에 승진, 광국공신() 3등에 녹훈되고 풍원부원군()에 봉해졌다. 이 해 정여립의 모반사건에 관련되어 죽게 된 최영경()을 구제하려는 소를 초안했으나 올리지 못하였다. 1591년 우의정으로 이조판서를 겸하고, 이어 좌의정에 승진해 역시 이조판서를 겸하였다.이 해 건저문제()로 서인 정철()의 처벌이 논의될 때 동인의 온건파인 남인()에 속해, 같은 동인의 강경파인 북인()의 이산해()와 대립하였다.왜란이 있을 것에 대비해 형조정랑 권율()과 정읍현감 이순신()을 각각 의주목사와 전라도좌수사에 천거하였다. 그리고 경상우병사 조대곤()을 이일()로 교체하도록 요청하는 한편, 진관법()을 예전대로 고칠 것을 청하였다.1592년 3월에 일본 사신이 우리 경내에 이르자, 선위사(使)를 보내도록 청했으나 허락하지 않아 일본 사신이 그대로 돌아갔다. 그 해 4월에 판윤 신립()과 군사()에 관해 논의하며 일본의 침입에 따른 대책을 강구하였다.1592년 4월 13일 일본이 대거 침입하자, 병조판서를 겸하고 도체찰사로 군무()를 총괄하였다. 이어 영의정이 되어 왕을 호종(), 평양에 이르러 나라를 그르쳤다는 반대파의 탄핵을 받고 면직되었다. 의주에 이르러 평안도도체찰사가 되고, 이듬해 명나라의 장수 이여송()과 함께 평양성을 수복, 그 뒤 충청·경상·전라 3도의 도체찰사가 되어 파주까지 진격하였다.이 해 다시 영의정에 올라 4도의 도체찰사를 겸해 군사를 총지휘하였다. 이여송이 벽제관()에서 대패하여, 서로(西)로 퇴각하는 것을 극구 만류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권율과 이빈()으로 하여금 파주산성을 지키게 하고 제장()에게 방략을 주어 요해()를 나누어 지키도록 하였다.그 해 4월 이여송이 일본과 화의하려 하자, 글을 보내 화의를 논한다는 것은 나쁜 계획임을 역설하였다. 또 군대 양성과 함께 절강기계()를 본떠 화포 등 각종 무기의 제조 및 성곽의 수축을 건의해 군비 확충에 노력하였다. 그리고 소금을 만들어 굶주리는 백성을 진휼할 것을 요청하였다.10월 선조를 호위하고 서울에 돌아와서 훈련도감의 설치를 요청했으며, 변응성()을 경기좌방어사로 삼아 용진()에 주둔시켜 반적()들의 내통을 차단시킬 것을 주장하였다.1594년 훈련도감이 설치되자 제조(調)가 되어 『기효신서()』를 강해()하였다. 또한 호서의 사사위전()을 훈련도감에 소속시켜 군량미를 보충하고 조령()에 관둔전()을 설치할 것을 요청하는 등 명나라와 일본과의 화의가 진행되는 기간에도 군비 보완을 위해 계속 노력하였다.1598년 명나라 경략() 정응태()가 조선이 일본과 연합해 명나라를 공격하려 한다고 본국에 무고한 사건이 일어났다. 이에 이 사건의 진상을 변명하러 가지 않는다는 북인들의 탄핵으로 관작을 삭탈당했다가, 1600년에 복관되었으나 다시 벼슬을 하지 않고 은거하였다.1604년 호성공신() 2등에 책록되고 다시 풍원부원군에 봉해졌다. 도학()·문장()·덕행()·글씨로 이름을 떨쳤고, 특히 영남 유생들의 추앙을 받았다. 묘지는 안동시 풍산읍 수리 뒷산에 있다. 안동의 병산서원()등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충()이다.저서로는 『서애집(西)』·『징비록()』·『신종록()』·『영모록()』·『관화록()』·『운암잡기()』·『난후잡록()』·『상례고증()』·『무오당보()』·『침경요의()』 등이 있다.편서로는 『대학연의초()』·『황화집()』·『구경연의()』·『문산집()』·『정충록』·『포은집』·『퇴계집』·『효경대의()』·『퇴계선생연보』 등이 있다.그런데 문인 정경세()가 유성룡의 저서에 대해, 「서애행장(西)」에서 “평생 지은 시문이 임진병화 때 없어졌으며, 이제 문집 10권과 『신종록』·『영모록』·『징비록』 등이 집에 보관되어 있다.”라고 한 것을 보면 대부분이 없어졌음을 알 수 있다.『징비록』과 『서애집』은 임진왜란사 연구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귀중한 자료이다.











상품 정보 고시

제품소재 상품페이지 참고
색상 상품페이지 참고
치수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자 상품페이지 참고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연월 상품페이지 참고
품질보증기준 상품페이지 참고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상품페이지 참고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배송정보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교환/반품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

회사명 옛날물건 주소 경남 밀양시 중앙로 80-6 (가곡동)
사업자 등록번호 615-03-17906 대표 김동영 전화 010-3845-4358 팩스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03-14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김동영
Copyright © 2001-2013 옛날물건. All Rights Reserved.

전화문의

010-3845-4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