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좋음
크기:센치
보외1층캐비넷51-3-3
**이의현(李宜顯)[1669~1745]의 본관은 용인(龍仁)이며, 자는 덕재(德哉), 호는 도곡(陶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후연(李後淵)이고, 할아버지는 파주목사 이정악(李挺岳)이다. 아버지는 좌의정 이세백(李世白)이고, 어머니는 군수 정창징(鄭昌徵)의 딸 연일 정씨(延日 鄭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감사 어진익(魚震翼)의 딸 함종 어씨(咸從 魚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주부 송하석(宋夏錫)의 딸 은진 송씨(恩津 宋氏), 세 번째 부인은 류인(柳寅)의 딸 전주 류씨(全州 柳氏)이다.
이의현은 1669년(현종 10) 5월 18일 한성부 진장방 소격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소격동]에서 태어났다. 1689년(숙종 15) 아버지 이세백이 송시열(宋時烈)의 유배를 반대하여 파직되자 아버지를 따라 고양 원당촌(元堂村)에 거주하였고, 1694년 풍양(豊壤)[현 남양주시 진건읍] 성릉사(成陵寺)에 우거하던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을 찾아가 『논어(論語)』 등 경전을 배웠다. 1694년 치러진 별시 문과에 병과 4위로 급제하여 승정원가주서가 되었다.
이의현은 이후 예문관검열·봉교·예조좌랑·사간원정언·사헌부지평 등을 거쳐 1705년 이조좌랑이 되었다. 1706년 홍문관수찬에 임명되었고, 1708년 당상관인 동부승지에 올랐다. 1721년(경종 1) 이조판서가 되었고, 연잉군(延礽君)[훗날 영조(英祖)]의 왕세제 책봉을 청하는 정청에 참여하였다가 환국이 일어나 관작을 삭탈당하고 문외출송되었다. 1722년 임인옥사에 연루되어 평안도 운산군(雲山郡)에 유배되었다가, 영조 즉위 후 방면되었다. 형조판서·이조판서 등을 거쳐 1727년(영조 3) 우의정에 올랐지만, 정미환국으로 다시 소론이 집권하자 파직되어 선영이 있는 양주 도산(陶山)[현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에 은거하였다.
이의현은 1728년 방면되었고, 이인좌의 난이 발발하자 판중추부사로 기용되어 가담자의 처벌을 담당하였다. 이후 1735년에 영의정에 올랐다. 1738년 기로소에 들어갔고, 1742년 사직을 청하여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 1745년 4월 8일 사망하였다.
제품소재 | 상품페이지 참고 |
---|---|
색상 | 상품페이지 참고 |
치수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품페이지 참고 |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연월 | 상품페이지 참고 |
품질보증기준 | 상품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