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0년대 목판본 오운(吳澐) 동사찬요(東史纂要) 권2상중 1책 > 고서적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전화문의

010-3845-4358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1600년대 목판본 오운(吳澐) 동사찬요(東史纂要) 권2상중  1책
    1600년대 목판본
    800,000
  • 1787년(건륭52년) 사천현 각산소재 송림수 성책 1책완질
    1787년(건륭52
    1,200,000
  • 필사본 상간재선생 1책
    필사본 상간재선생
    20,000
  • 조선시대 고필사본 실학자 이덕무(李德懋) 사소절(士小節) 1책완질
    조선시대 고필사본
    800,000
  • 목판본 영양출신 의성김씨 김성탁(金聖鐸) 제산선생문집(霽山先生文集) 권5,6  1책
    목판본 영양출신 의
    300,000
  • 1720년 목판본 송시열(宋時烈) 논맹혹문정의통고(論孟或問精義通攷) 권1,2  1책
    1720년 목판본
    600,000
  • 1910년(포덕50년) 보천교연혁사(普天敎沿革史)속편 1책완질
    1910년(포덕50
    200,000
  • 1949년(단기4282년) 대구공립중학교 성적통지표
    1949년(단기42
    50,000
  • 연활자본 고창 무장향교위성계안(茂長鄕校衛聖契案) 1책완질
    연활자본 고창 무장
    100,000
  • 1721년(康熙60年)서문 중국목판본 장자남화경해(莊子南華經解) 6책완질
    1721년(康熙60
    500,000

커뮤니티 최신글

접속자집계

오늘
2,556
어제
15,836
최대
30,428
전체
10,854,491

옛날물건 재고 현황

고서적
3,510,415,000원/14,123건
근대도서
3,228,983,500원/41,682건
근대시집
380,277,500원/2,807건
희귀고서적
1,090,370,000원/2,727건
교과서
438,425,000원/5,450건
간찰
71,245,000원/1,269건
한국미술품
423,535,500원/3,598건
일본미술품
1,002,630,500원/23,716건
중국미술품
504,349,000원/9,765건
기타
1,082,171,500원/11,311건
전체합계
11,732,402,500원/116,448건
1600년대 목판본 오운(吳澐) 동사찬요(東史纂要) 권2상중 1책 > 고서적
리뷰 0 위시 0

1600년대 목판본 오운(吳澐) 동사찬요(東史纂要) 권2상중 1책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상품코드 1753860395
제조사 또는 연대 1600년대
원산지 한국
판매가격 800,000원
포인트 8,000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선택된 옵션

  • 1600년대 목판본 오운(吳澐) 동사찬요(東史纂要) 권2상중 1책
    +0원
위시리스트

상품 정보

상품 상세설명

상태좋음

크기:21.8*32.5센치

보외1층캐비넷52-4-1

**1609년(광해 1)에 계림부()에서 처음 간행했다가 1614년에 한백겸()의 충고로 지리지()를 첨가하고, 길재() 등 고려 말의 은자들을 추가해 개찬하였다.

이 책은 권1의 군왕기()와 권7의 열전()으로 되어 있어 기전체 형식에 가깝다. 그러나 지()가 없으며, 개찬할 때 간단한 지리지를 첨가했을 뿐이다. 저자 자신이 쓴 범례가 있고, 한백겸이 쓴 후서()가 들어 있다.이 책은 관찬 사서로서 ≪동국통감≫·≪동국사략≫·≪고려사≫·≪삼국사절요≫를 참고하였다. 또한 ≪퇴계문집≫·≪남명유고 稿≫·≪죽계지 ≫·≪병진정사록 ≫ 등 사림 학자들의 문집을 많이 이용하였다.기자조선을 높여서 우리 나라 풍교()의 시작이 기자()로부터 시작되었음을 알리고자 하였다. 그리고 권근()의 ≪동국사략≫에 의거해 신라를 위주로 삼국시대를 서술하였다. 즉, 신라왕을 표제로 내세워 그 밑에 고구려·백제의 역사를 부기하는 형식을 취하였다.사대와 교린 관계기사는 충실하게 수록하고 애국 명장과 충신·열사, 그리고 절의()를 지킨 인물들을 많이 수록하였다. 그 결과 길재·이양중()·서견()·김주() 등 고려 말 4군자()가 열전에 수록되었다. 반면 조선 개국에 공이 많은 정도전()·윤소종()·조준()·남은() 등과 같은 인물이 빠졌다.≪동국통감≫에 실린 사론()은 대부분 그대로 실었으나 이황()·주세붕()·남효온()·김종직()·이현보()·조식() 등의 의견을 사론에 반영한 것은 새로운 시도이다.삼한의 위치에 관해서는 처음에 최치원설()과 권근설을 모두 소개하였다. 그러나 한백겸의 비판을 받고, 뒤에 개찬할 때 한백겸의 삼한설을 따로 수록하였다. 지리지 역시 한백겸의 충고에 의해 보간()한 것인데, 신라·고구려·백제·고려의 순으로 서술하였다.이 책은 16세기초 박상()이 쓴 ≪동국사략 ≫에 대한 불만에서 편찬한 것으로 보인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상품 정보 고시

제품소재 상품페이지 참고
색상 상품페이지 참고
치수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자 상품페이지 참고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연월 상품페이지 참고
품질보증기준 상품페이지 참고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상품페이지 참고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배송정보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교환/반품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

회사명 옛날물건 주소 경남 밀양시 중앙로 80-6 (가곡동)
사업자 등록번호 615-03-17906 대표 김동영 전화 010-3845-4358 팩스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03-14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김동영
Copyright © 2001-2013 옛날물건. All Rights Reserved.

전화문의

010-3845-4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