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좋음
크기:21.5*32센치
보내1층16상4
**곽재우 (郭再祐 ; 1552~1617) 조선 중기의 의병장으로서 본관은 현풍(玄風)이며 자는 계수(季綏)이다. 그리고 호는 망우당(忘憂堂)이며 시호는 충익(忠翼)으로 의령(宜寧) 출생이다. 아버지는 황해도관찰사 월(越)이며, 조식(趙植)의 외손녀 사위이자 문인이다. 대제학을 지낸 김우옹(金宇)과는 동문이자 동서지간이다. 1585년(선조 18) 문과 별시(別試)의 정시(庭試) 2등으로 뽑혔으나 왕의 뜻에 거슬린 글귀 때문에 파방(罷榜)되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 왕이 의주(義州)로 피난하자 의령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1592년 5월 함안군을 점령하고 정암진(鼎巖津:솥바위나루) 도하작전을 전개한 왜병을 맞아 싸워 대승을 거두었다. 이때 홍의(紅衣)를 입고 선두에서 많은 왜적을 무찔렀으므로 홍의장군이라고도 불렸다. 그리고 현풍·창녕·영산에 주둔한 일본군을 물리쳤다. 10월 김시민(金時敏)의 1차 진주성 싸움에 자신이 거느린 의병을 보내 응원하기도 했다. 그러나 왜적을 피해 달아났던 감찰사 김수(金磎)와의 불화로 누명을 쓰고 구금되었다가 초유사(招諭使) 김성일(金誠一)의 장계(狀啓)로 석방된 후, 7월에 유곡도찰방(幽谷道察訪), 10월에조방장(助防將) 1593년에 성주목사(星州牧使)를 역임하였다. 1595년 진주목사가 되었으나 그만두고 현풍으로 돌아왔다. 1597년 정유재란 때에는 경상좌도방어사(慶尙左道防禦使)로 임명되어 화왕산성(火旺山城)을 수비하였고, 경상우도조방장(慶尙右道助防將)이 되어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신구(伸救)하는 상소문을 올리고 낙향하였다. 여러 차례 경상도 병마절도사·수군통제사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퇴하였는데, 그 후 부총관(副摠管)·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을 거쳐 함경도관찰사를 지내다가 당쟁으로 나라의 형편이 날로 어지러워질 뿐만 아니라, 통제사 이순신(李舜臣)이 죄없이 잡혀 올라오고 또 절친한 사이인 광주의병장 김덕령(金德齡)이 이몽학(李夢鶴)의 난에 휘말려 죽은 일을 통탄하여 벼슬을 사퇴하고 현풍 비슬산(琵瑟山)에 살면서 영산의 창암진(滄巖津)에 망우정(忘憂亭)이라는 정자를 짓고 은둔생활로 여생을 보냈다. 필체가 활달하고 시문에도 능했다. 저서로는 《망우집》이 있다. 일괄유물은 보물 제671호로 지정되었다. 묘지는 경상북도 달성군 구지면 대암리 신당동에 있다.
제품소재 | 상품페이지 참고 |
---|---|
색상 | 상품페이지 참고 |
치수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품페이지 참고 |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연월 | 상품페이지 참고 |
품질보증기준 | 상품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