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좋음
크기:21*32.5센치
보내1층18상2
**被傳者: 柳沃(1487∼1519)
叙: 丙辰(1856)三月上浣 幸州奇正鎭
跋: 戊午(1858)二月上浣 達城徐有先
**조선 중기 문신으로 자는 계언(啓彦), 호는 석헌(石軒), 시호는 정간(靖簡)으로 본관은 문화이다.
창평면 해곡리 집은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92호(지정명칭 류종헌 가옥, 일명 와송당)로 지정되어 있으며, 송강 정철의 신방으로 사용되었다.
1501년 생원이 되고, 1507년 식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1509년 홍문관 수찬을 거쳐 이듬해 무안현감이 되었다. 이때 담양부사 박상, 순창군수 김정 등과 연명으로 단경왕후(端敬王后, 중종비) 신씨의 복위를 청하고, 아울러 신씨를 폐위시켰던 훈신들의 죄를 규탄하는 상소를 올렸다. 또 장경왕후(章敬王后) 윤씨가 죽자 빈(嬪) 박씨가 정비가 되는 것을 반대하다가 유배당하였다.
1515년 사헌부장령, 1517년 함경도평사를 거쳐 이듬해 의정부 사인이 되었다. 이때 경연(經筵)에서 한전균전제(限田均田制)의 실시를 주장하였다. 1518년 남곤(南袞)의 미움을 받아 종성부사로 전출되었다. 1805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순창의 화산서원(花山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석헌집>이 있다.
**유옥(柳沃)관련항목 보기[1487~1519]은 1487년(성종 18) 창평[지금의 전라남도 담양]에서 출생하였는데, 아버지 유문표가 아들이 없어 늘그막에 월출산에 기도하여 태어났다 한다. 어려서부터 문장이 뛰어나 신동으로 소문났다. 1501년(연산 7) 생원, 1507년(중종 2) 식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1509년(중종 4) 홍문관 수찬을 거쳐 무안 현감이 되었다. 이 해에 담양 부사 박상(朴祥), 순창 군수 김정(金淨) 등과 함께 단경 왕후(端敬王后) 신씨(愼氏)의 복위를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세 사람은 강천산 계곡에 모여서 과거 억울하게 폐위된 중종의 비 신씨를 복위시킴이 옳다고 믿어 각자의 관인을 나뭇가지에 걸어 맹세하고 상소를 올리기로 결의하였다. 이때 이들이 소나무 가지에 관인을 걸어 놓고 맹세한 곳에 후세 사람들이 대를 세우고 삼인대(三印臺)라 부르게 되었다. 1515년(중종 10) 사헌부 장령, 1517년(중종 12) 함경도 평사를 거쳐 이듬해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이 되었다. 1518년(중종 13) 남곤(南袞)의 미움을 받아 종성 부사(種城府使)로 전출되니, 유옥이 늙은 어버이가 있다며 외직에 나가려 하지 않았다. 이에 삼정승이 논의를 하여 “어버이의 나이가 70이 넘어 병이 들고 아우나 누이가 없으면 혹 은전을 베풀 수도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유옥의 부친은 70세가 못 되어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1519년(중종 14) 35세의 젊은 나이로 요절하였다.
제품소재 | 상품페이지 참고 |
---|---|
색상 | 상품페이지 참고 |
치수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품페이지 참고 |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연월 | 상품페이지 참고 |
품질보증기준 | 상품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