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좋음
크기:20.5*30.8센치
보내1층17상6
**序: 乙卯(1915) 柳必永
後序: 徐廷玉
跋: 崔勳一 ; 崔尙基
**조선 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문인이자 의병장.
최응사(崔應泗)는 본관은 영천(永川), 자는 효원(孝源), 호는 유정(柳亭)이며, 1520년(중종 15) 5월에 태어나 1612년(광해군 4) 1월 93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조는 통덕랑(通德郞) 최억년(崔億年)이며, 증조는 충순위(忠順衛) 최윤정(崔潤汀), 조부는 별시위(別侍衛) 최효분(崔孝汾)이다. 아버지는 훈도(訓導)로 좌승지(左承旨)에 증직된 최호(崔浩)이며, 어머니는 숙부인(淑夫人) 언양 김씨(彦陽金氏)로 현감(縣監) 김숭호(金崇滈)의 딸이다. 부인은 정부인(貞夫人) 동래 정씨(東萊鄭氏)로 충의위(忠義衛) 정세후(鄭世侯)의 딸이며, 슬하에 4남 1녀를 두니 아들은 최세남(崔世南)과 진사(進士) 최주남(崔柱南), 병조 참판(兵曹參判) 최벽남(崔擘南), 별좌(別坐) 최정남(崔挺南)이며, 사위는 생원(生員) 김엽(金曄)이다.최응사는 어려서부터 양친의 병환에 정성을 다해 시탕(侍湯)하고, 스승에게는 공경을 다하였다. 일찍이 사마시에 합격하고 훈도(訓導)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나아가지 않았다.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73세의 노구로 의병을 모집하여 아들 최벽남(崔擘南)과 조카 최기남(崔起南) 등에게 맡겨 영천성(永川城) 회복에 큰 힘을 보탰다. 후에 아들의 공훈으로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제수되었다.최응사의 묘소는 경상북도 영천시 서산동 서운산에 있으며, 이만규(李晩煃)의 갈문(碣文)이 있다.
제품소재 | 상품페이지 참고 |
---|---|
색상 | 상품페이지 참고 |
치수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품페이지 참고 |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연월 | 상품페이지 참고 |
품질보증기준 | 상품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