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좋음
크기:20*29.5센치
보내1층17상5
**序: 屠維大荒落(1929)...許巑
跋: 庚午(1930)...申榮泰1850년(철종 1)∼1929년. 조선 말기 유학자이다. 자는 관겸(貫兼)이고, 호는 계와(桂窩)이다. 본관은 창녕(昌寧)이고, 경상남도 의령군(宜寧郡) 궁유면(宮柳面) 계현리(桂峴里) 출신이다.
증조부는 성만지(成萬祉), 조부는 진사(進士) 성양로(成養魯), 부친은 성진덕(成鎭德)이다. 외조부는 순천박씨(順天朴氏) 박규연(朴奎淵)이며, 처부는 선산(善山) 김필재(金畢齋)이다.
성일준은 1875년(고종 12) 서울에서 만든 대동보가 옛날의 규례와 맞지 않자 단자(單子)를 들고 내려와 버렸다. 1877년(고종 14) 성재(性齋) 허전(許傳)을 불권당(不倦堂)에서 뵙고 출처(出處)의 의리에 대한 강론을 들은 후 과거 공부를 포기하였다. 1888년(고종 25) 그는 부친상을 당하였으며 삼년상이 끝난 후에 후산(后山) 허유(許愈)를 따라 공부하였다. 1891년(고종 28) 그가 삼가현(三嘉峴) 안산(案山)에 우거하고 있을 때, 지주 신두선(申斗善)이 제의하고 후산(后山) 허유(許愈)와 노백(老柏) 정재규(鄭載圭)가 주동하여 남명(南冥) 조식(曺植: 1501∼1572)이 제자들을 가르치던 뇌용정(雷龍亭)을 중건하고 춘추로 강론을 폈다. 성일준(成一濬) 또한 이에 참여하여 위기지학(爲己之學)을 다지는 데 힘썼다. 지역의 선비들은 “경술년에 태어난 세 사람 중, 수파(守坡) 안효제(安孝濟)는 명절(名節)이 높고, 계와(桂窩) 성일준(成一濬)은 기량(器量)이 좋고, 소와(素窩) 허찬은 유학이 좋다”고 평하였다.
묘소는 수곡(壽谷) 선영(先塋) 아래 있다.
제품소재 | 상품페이지 참고 |
---|---|
색상 | 상품페이지 참고 |
치수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품페이지 참고 |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연월 | 상품페이지 참고 |
품질보증기준 | 상품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