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좋음
크기:19*29.5센치
보내1층17상5
**개항기 화순 출신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계방(季方), 호는 일신재(日新齋). 응교(應敎) 정태(鄭態)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제현(濟玄)이고, 어머니는 진원 박씨(珍原朴氏) 치성(致聖)의 딸이다.
정의림(鄭義林)[1845~1910]은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3대 제자 중 1인으로, 노사학파의 인물 중 비교적 큰 규모의 문인 집단을 형성한 사람이다. 1868년 기정진에게 집지하여 스승의 학설을 계승하면서 율곡의 학설을 주리적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변전우소저노사선생납량사의기의(辨田愚所著蘆沙先生納凉私議記疑)」와 「변전우소저노사선생외필변(辨田愚所著蘆沙先生猥筆辨)」을 써서 노사의 학설을 옹호하였다. 또한 나라가 일제에 의해 잠식되어 가자 호남대의소에서 의병 활동을 하였다. 정의림의 문인 수는 『일신재집』의 문인록에는 265명으로 수록되어 있고, 『노사 선생 연원록』에는 재전제자까지 합쳐 879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정의림은 1893년에 화순군 춘양면 칠송리 칠송 마을에 영귀정(詠歸亭)을 축조하고 9성(聖)의 진영을 봉안하고 후학을 가르쳤다. 이 영귀정에서는 호남의 유림들이 모여 스승의 이기론에 대한 변론을 하기도 하였다. 이 영귀정은 현재에도 남아 있는데, 4×2구조의 가운데에 대청이 있는 정사형 건물이다. 그의 사후에는 영귀정 옆에 칠송사(七松祠)를 세우고, 정의림과 그의 제자인 홍승환(洪承渙), 김윤형(金潤亨), 민병춘(閔丙春), 문제술(文濟述), 배현기(裵玄基), 임태주(任泰柱), 홍찬희(洪纘熹), 이승복(李承福) 등을 배향하였다.
「변전우소저노사선생납량사의기의(辨田愚所著蘆沙先生納凉私議記疑)」와 「변전우소저노사선생외필변(辨田愚所著蘆沙先生猥筆辨)」 등을 저술하였고, 유집으로는 1927년에 간행한 『일신재집(日新齋集)』 21권 10책과 1967년에 간행한 『일신재 선생 연원록(日新齋先生淵源錄)』 3권 2책이 있다.
고산 서원에 기정진의 고제들과 함께 배향되었다.
제품소재 | 상품페이지 참고 |
---|---|
색상 | 상품페이지 참고 |
치수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품페이지 참고 |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연월 | 상품페이지 참고 |
품질보증기준 | 상품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