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좋음
크기:20*31센치
보내1층21상4
**권1,2,5~14終
**충청남도 보령 출신의 조선 전기 문신.
이준경(李浚慶)[1499~1572]은 충청남도 보령 출신으로 영의정에 오른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사림정치를 정착시키고 선조(宣祖)[재위: 1567~1608]를 왕위에 올려 선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원길(原吉), 호는 동고(東皐)·남당(南堂)·홍련거사(紅蓮居士)·연방노인(蓮坊老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극감(李克堪)[1423~1465], 할아버지는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이세좌(李世佐)[1445~1504]이다. 아버지는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 이수정(李守貞)[1477~1504], 어머니는 상서원판관(尙瑞院判官) 신승연(申承演)의 딸이다.
이준경은 조선 초기부터 충청남도 보령에 세거해 온 광주 이씨 집안 출신으로 보령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 이세좌는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甲子士禍)[연산군의 어머니 윤씨(尹氏)의 복위 문제에 얽혀서 일어난 사화] 때 화를 입어 사사(賜死)되었고, 아버지 이수정은 연좌되어 충청도 괴산에 유배되었다. 이때 6세의 어린 나이로 형 이윤경(李潤慶)[1498~1562]과 함께 괴산에서 아버지의 곁에 있었다.
1506년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해배(解配)된 후 외할아버지 신승연에게 학문을 배우고 이연경(李延慶)[1484~1548] 문하에 들어갔다. 24세였던 1522년(중종 17) 생원시에 입격하고, 1531년(중종 26) 식년 문과에 급제하였는데, 이때 두 방목(榜目)에는 모두 거주지를 한성으로 표기하였다. 『동국여지지(東國輿地志)』 한성부 인물조에 등재되어 있다.
문과 급제 후 한림(翰林)을 거쳐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1533년 홍문관부수찬(弘文館副修撰)으로 경연에 나아가 1519년에 일어난 기묘사화(己卯士禍)[조광조(趙光祖)·김정(金淨)·김식(金湜) 등 신진 사류(士類)가 남곤(南袞)·심정(沈貞)·홍경주(洪景舟) 등의 훈구 재상에 의해 화를 입은 사건]에서 화를 입은 사류의 무죄를 역설하다 권신(權臣) 김안로(金安老)[1481~1537] 일파의 모함으로 파직되었다. 1537년 김안로 일파가 제거된 뒤 다시 등용되어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고, 중종(中宗)[재위: 1506~1544]이 붕어한 후 고부부사(告訃副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1545년(인종 1) 을사사화(乙巳士禍)[윤원형(尹元衡) 일파 소윤(小尹)이 윤임(尹任) 일파 대윤(大尹)을 숙청하면서 사림이 크게 화를 입은 사건] 때에는 평안도관찰사(平安道觀察使)로 재직 중이어서 화를 면하였다. 1550년 영의정 이기(李芑)[1476~1552]의 모함으로 충청도 보은에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석방되었고, 1553년에 함경도순변사(咸鏡道巡邊使)가 되어 야인(野人)의 침입을 방비하였다.1555년 을묘왜란(乙卯倭亂)[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달량포(達粱浦)에 왜선(倭船) 60여 척이 쳐들어온 사건] 때에는 전라도순찰사로 출정하여 격퇴하면서 벼슬이 올랐다.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1565년 영의정이 되었다. 1567년 하성군(河城君) 이균(李均)을 왕[선조(宣祖)]으로 세우고 원상(院相)[조선 시대 국왕이 정상적인 국정 수행이 어려울 때 재상들로 구성된 임시로 국정을 의논하던 관직]으로서 국정을 보좌하였다. 기묘사화로 피화(避禍)된 조광조의 억울함을 풀어 주고, 을사사화 피화인들을 신원(伸冤)하였으며, 유배지에 있던 노수신(盧守愼)·유희춘(柳希春) 등을 석방해 등용하였다.1571년(선조 4) 영의정을 사임하고,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가 되었다. 이후 상소를 통해 붕당의 조짐이 있다는 유차(遺箚)[죽음에 임해 올리는 약식 상소문]를 올렸으나, 대신들이 선조에게 이준경이 사림에게 화를 끼치려고 그런 말을 만들었다고 하여 관작이 추삭(追削)되었다.인조(仁祖)[재위: 1623~1649] 때의 문인 이덕형(李德泂)[1566~1645]은 조선 전기에는 황희(黃喜)[1363~1452]와 허조(許稠)[1369~1439]가 있지만, 후기에는 정광필(鄭光弼)[1462~1538]과 이준경이 있다며 어진 정승의 상징으로 기록하기도 하였다.
저서로는 『동고유고(東皐遺稿)』, 『조선풍속(朝鮮風俗)』이 있다.
제품소재 | 상품페이지 참고 |
---|---|
색상 | 상품페이지 참고 |
치수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품페이지 참고 |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연월 | 상품페이지 참고 |
품질보증기준 | 상품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