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활자본 보령출신 문신 광주이씨 이준경(李浚慶) 동고선생유고(東皐先生遺稿) 6책 > 고서적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전화문의

010-3845-4358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목활자본 보령출신 문신 광주이씨 이준경(李浚慶) 동고선생유고(東皐先生遺稿) 6책
    목활자본 보령출신
    600,000

커뮤니티 최신글

접속자집계

오늘
9,684
어제
11,729
최대
13,072
전체
8,289,709

옛날물건 재고 현황

고서적
3,524,205,000원/14,226건
근대도서
3,204,428,500원/40,144건
근대시집
378,257,500원/2,683건
희귀고서적
1,123,620,000원/2,773건
교과서
444,345,000원/5,513건
간찰
68,145,000원/1,219건
한국미술품
429,165,500원/3,642건
일본미술품
1,009,208,500원/23,874건
중국미술품
512,989,000원/9,842건
기타
1,083,255,500원/11,452건
전체합계
11,777,619,500원/115,368건
목활자본 보령출신 문신 광주이씨 이준경(李浚慶) 동고선생유고(東皐先生遺稿) 6책 > 고서적

목활자본 보령출신 문신 광주이씨 이준경(李浚慶) 동고선생유고(東皐先生遺稿) 6책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상품코드 1741920767
제조사 또는 연대 조선시대
원산지 한국
판매가격 600,000원
포인트 6,000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선택된 옵션

  • 목활자본 보령출신 문신 광주이씨 이준경(李浚慶) 동고선생유고(東皐先生遺稿) 6책
    +0원
위시리스트

상품 정보

상품 상세설명

상태좋음

크기:20*31센치

보내1층21상4

**권1,2,5~14終

**충청남도 보령 출신의 조선 전기 문신.

이준경()[1499~1572]은 충청남도 보령 출신으로 영의정에 오른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사림정치를 정착시키고 선조()[재위: 1567~1608]를 왕위에 올려 선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본관은 광주(), 자는 원길(), 호는 동고()·남당()·홍련거사()·연방노인()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극감()[1423~1465], 할아버지는 판중추부사() 이세좌()[1445~1504]이다. 아버지는 홍문관수찬() 이수정()[1477~1504], 어머니는 상서원판관() 신승연()의 딸이다.

이준경은 조선 초기부터 충청남도 보령에 세거해 온 광주 이씨 집안 출신으로 보령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 이세좌는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연산군의 어머니 윤씨()의 복위 문제에 얽혀서 일어난 사화] 때 화를 입어 사사()되었고, 아버지 이수정은 연좌되어 충청도 괴산에 유배되었다. 이때 6세의 어린 나이로 형 이윤경()[1498~1562]과 함께 괴산에서 아버지의 곁에 있었다.
1506년 중종반정()으로 해배()된 후 외할아버지 신승연에게 학문을 배우고 이연경()[1484~1548] 문하에 들어갔다. 24세였던 1522년(중종 17) 생원시에 입격하고, 1531년(중종 26) 식년 문과에 급제하였는데, 이때 두 방목()에는 모두 거주지를 한성으로 표기하였다. 『동국여지지(輿)』 한성부 인물조에 등재되어 있다.
문과 급제 후 한림()을 거쳐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1533년 홍문관부수찬()으로 경연에 나아가 1519년에 일어난 기묘사화()[조광조()·김정()·김식() 등 신진 사류()가 남곤()·심정()·홍경주() 등의 훈구 재상에 의해 화를 입은 사건]에서 화를 입은 사류의 무죄를 역설하다 권신() 김안로()[1481~1537] 일파의 모함으로 파직되었다. 1537년 김안로 일파가 제거된 뒤 다시 등용되어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고, 중종()[재위: 1506~1544]이 붕어한 후 고부부사(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1545년(인종 1) 을사사화()[윤원형() 일파 소윤()이 윤임() 일파 대윤()을 숙청하면서 사림이 크게 화를 입은 사건] 때에는 평안도관찰사(使)로 재직 중이어서 화를 면하였다. 1550년 영의정 이기()[1476~1552]의 모함으로 충청도 보은에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석방되었고, 1553년에 함경도순변사(使)가 되어 야인()의 침입을 방비하였다.1555년 을묘왜란()[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달량포()에 왜선() 60여 척이 쳐들어온 사건] 때에는 전라도순찰사로 출정하여 격퇴하면서 벼슬이 올랐다.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1565년 영의정이 되었다. 1567년 하성군() 이균()을 왕[선조()]으로 세우고 원상()[조선 시대 국왕이 정상적인 국정 수행이 어려울 때 재상들로 구성된 임시로 국정을 의논하던 관직]으로서 국정을 보좌하였다. 기묘사화로 피화()된 조광조의 억울함을 풀어 주고, 을사사화 피화인들을 신원()하였으며, 유배지에 있던 노수신()·유희춘() 등을 석방해 등용하였다.1571년(선조 4) 영의정을 사임하고, 영중추부사()가 되었다. 이후 상소를 통해 붕당의 조짐이 있다는 유차()[죽음에 임해 올리는 약식 상소문]를 올렸으나, 대신들이 선조에게 이준경이 사림에게 화를 끼치려고 그런 말을 만들었다고 하여 관작이 추삭()되었다.인조()[재위: 1623~1649] 때의 문인 이덕형()[1566~1645]은 조선 전기에는 황희()[1363~1452]와 허조()[1369~1439]가 있지만, 후기에는 정광필()[1462~1538]과 이준경이 있다며 어진 정승의 상징으로 기록하기도 하였다.

저서로는 『동고유고(稿)』, 『조선풍속()』이 있다.









상품 정보 고시

제품소재 상품페이지 참고
색상 상품페이지 참고
치수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자 상품페이지 참고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연월 상품페이지 참고
품질보증기준 상품페이지 참고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상품페이지 참고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배송정보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교환/반품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

회사명 옛날물건 주소 경남 밀양시 중앙로 80-6 (가곡동)
사업자 등록번호 615-03-17906 대표 김동영 전화 010-3845-4358 팩스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03-14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김동영
Copyright © 2001-2013 옛날물건. All Rights Reserved.

전화문의

010-3845-4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