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좋음
크기:20.5*33.5센치
보내1층21상2
**序: 萬曆甲戌(1574)...柳希春
跋: 萬曆二年(1574)...許曄
重刊序: 彊圉單閼(1687)...朴世采
***김안국(金安國, 1478년(성종 9년) 9월 2일(음력 8월 6일) ~ 1543년(중종 38년) 2월 7일(음력 1월 4일)[1])은 중종 치세 시절에 조선 경상도 관찰사 직책을 지낸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다.자는 국경(國卿), 호는 모재(慕齋), 시호는 문경(文敬), 본관은 의성(義城)이다. 예조판서, 대제학 등을 지냈다. 종묘의 인종실에 배향됨으로써 종묘배향공신이 되었다.박학하고 문장에 능한 성리학자로서 저서에 《모재집(慕齋集)》·《모재가훈(慕齋家訓)》·《동몽선습(童蒙先習)》, 편서(編書)로는 《이륜행실도언해(二倫行實圖諺解)》·《성리대전언해(性理大全諺解)》·《정속언해(正俗諺解)》·《농서언해(農書諺解)》·《잠서언해(蠶書諺解)》·《여씨향약언해(呂氏鄕約諺解)》·《벽온방(辟瘟方)》·《창진방(瘡疹方)》 등이 있다.조광조(趙光朝)·기준(奇遵) 등과 함께 김굉필(金宏弼)의 제자로서 도학에 통달하여 지치주의(至治主義) 사림파의 선도자가 되었다.연산군 7년(1501년)에 진사과에 합격하고 9년(1503년)에 별시문과에 을과로 합격하여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되었으며, 이어 박사·부수찬·부교리 등을 역임하였다. 중종 2년(1507년)에는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하고, 사헌부지평·장령·예조참의·대사간·공조판서 등을 지냈다.1517년 경상도 관찰사로 파견되어, 각 항교에 《소학》을 권하고, 《농서언해(農書諺解)》·《잠서언해(蠶書諺解)》·《이륜행실도언해(二倫行實圖諺解)》·《여씨향약언해(呂氏鄕約諺解)》·《정속언해(正俗諺解)》 등의 언해서와 《벽온방(辟溫方)》·《창진방(瘡疹方)》 등의 의학 서적을 간행하여 널리 보급하였으며, 향약을 시행하도록 하여 교화사업에 힘썼다.1519년 전라도 관찰사(全羅道 觀察使)로 재직중 인종때의 대학자인 하서 김인후가 찾아와 배움을 청하였다. 다시 서울로 올라와 참찬이 되었으나, 같은 해에 기묘사화가 일어나 조광조 일파의 소장파 명신들이 죽음을 당할 때 겨우 화를 면하고 파직되어 경기도 이천에 내려가서 후진들을 가르치며 한가히 지냈다.그는 평소 훈구파 관료인 김안로와도 친했는데, 그는 김종직의 문인이자 선배 사림파인 김전의 종손이기도 했다. 그의 도움으로 후에 쉽게 복직할 수 있었다. 1523년에 다시 등용되어 예조판서·대사헌·병조판서·좌참찬·대제학·찬성·판중추부사·세자이사 등을 역임하였다.1541년 병조판서 재직 시에 천문·역법·병법 등에 관한 서적의 구입을 건의하고, 물이끼(水苔)와 닥(楮)나무를 화합시켜 태지(台紙, 가는 털과 같은 이끼를 섞어서 뜬 종이)를 만들어 왕에게 바치고 이의 보급을 주청하였다.[4] 특히 태지(苔紙)는" '태정전(苔精箋)(たいせいせん)'은 조선 중종 때(16세기)의 관리 김안국의 발명이라"고 하였다.(일본인 유종렬 '전라기행' 인용)일본에서도 나라현 요시노쿠니스(吉野国ス) 등에서 낙수지(樂水紙)라는 이름으로 걸러져 있다.사대부 출신 관료로서 성리학적 이념에 따른 통치에 힘썼으며, 중국 문화를 이해·수용하기 위한 노력에 평생 심혈을 기울였다. 아울러 일본, 대마도 등과의 우호관계에도 역점을 두었다.시문으로도 명성이 있었다. 기묘사화 후 사림파 지식인들의 여망을 받았으며, 특히 그와의 친분관계를 강조하는 내용이 16세기 학자들의 글에 많이 보인다. 그는 조광조의 급진적인 주장에 찬성하지 않았고, 사화를 겪으면서 정치적 처신을 잘 하여 피해를 모면할 수 있었다. 아울러 사림파들의 《소학》 보급운동에 적극적으로 힘썼다. 소학보급은 이미 태종 7년(1407년), 중종 4년(1509년)에도 이루어졌으나, 그의 노력에 의해 적극적으로 실현되기에 이르렀다.대제학으로 죽은 뒤 인종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으며, 여주의 기천서원(沂川書院)과 이천의 설봉서원(雪峰書院) 및 의성의 빙계서원(氷溪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모재집(慕齋集)》·《모재가훈(慕齋家訓)》 등이 있다.
제품소재 | 상품페이지 참고 |
---|---|
색상 | 상품페이지 참고 |
치수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품페이지 참고 |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연월 | 상품페이지 참고 |
품질보증기준 | 상품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