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좋음
크기:19*30센치
보내1층21상2
**홍태유
1672년(현종 13)∼1715년(숙종 4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唐]). 자는 백형(伯亨), 호는 내재(耐齋).
조부는 익평위(益平尉) 홍득기(洪得箕)이고, 부친은 주부(主簿) 홍치상(洪致祥)이다. 모친은 전주이씨(全州李氏) 이정영(李正英)의 딸이고, 부인은 전의이씨(全義李氏) 이징하(李徵夏)의 딸이다.
서울 입동(笠洞)에서 태어났고 어려서 모친상을 당하여 외조모 유부인(柳夫人)과 외조부 이정영의 밑에서 자랐다. 1676년(숙종 2)에 조모인 효종의 딸 숙안공주(淑安公主)를 따라 입궐하여 숙종을 뵙기도 했다. 1689년(숙종 15) 2월 환국(換局)으로 남인(南人)이 정권을 잡은 뒤 부친이 유배가게 되자 격쟁(擊錚)하여 부친의 억울함을 호소했으나, 6월에 부친이 사사(賜死)되었다.
이후 부친의 관직이 회복되었지만 다시 추탈(追奪)됨에 따라 여주(驪州)의 이호(梨湖)에 내려가 내재(耐齋)를 짓고 우거(寓居)하였다. 이 같은 가문의 불행을 겪은 뒤 평생 벼슬을 하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면서 단양(丹陽), 오대산(五臺山), 설악산(雪嶽山), 한계산(寒溪山), 금강산(金剛山) 등지 산천의 유람하면서 많은 시문을 남겼다.
1710년(숙종 36)에 해랑적(海浪賊)이 침입할 것이라는 소문에 고을 주민들이 의병(義兵)을 모집하면서 장수(將帥)가 되어주기를 청하기도 했다. 한편 조정에서 일고 있는 축성(築城) 논의를 반대하여 「축성의(築城議)」를 지었다. 1715년(숙종 41) 겨울에 부친의 천장(遷葬)을 도모하던 중 갑자기 병을 얻어서 그해 10월 2일에 죽었다. 여주(驪州) 이호의 집 뒷산에 장사 지냈다. 1724년(경종 4) 지평(砥平) 화곡(花谷) 선영으로 이장(移葬)했다.
1738년(영조 14)에 아들 홍익종(洪益宗)이 수차에 걸친 상언(上言)이 있은 뒤 한재(旱災)로 인한 소결(疏決) 때 박문수(朴文秀)와 송인명(宋寅明)의 주달로 부친인 홍치상(洪致祥)은 복관(復官)되었고 홍태유도 효행(孝行)으로 사헌부지평에 증직(贈職)되었다. 1754년(영조 30)에 아들인 홍익삼(洪益三)이 경주부윤(慶州府尹)의 제수로 추은(推恩)되어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조참판(吏曹參判) 당은군(唐恩君)으로 추증되었다.
문집인 『내재집(耐齋集)』은 1730년(영조 6) 아들들이 운각활자(芸閣活字)로 간행되었고, 1740년(영조 16) 경신정시문과(庚申庭試文科)에 을과(乙科) 2등으로 급제한 아들 홍익삼(洪益三)이 1755년(영조 31)에 목판으로 문집을 중간했다. 이 문집은 시 259수, 서(序) 9수, 기(記) 4수, 발(跋) 3수, 잡저 11수, 논(論) 3수, 애사(哀辭) 1수, 제문 5수 등이 수록되어 있다. 규장각,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제품소재 | 상품페이지 참고 |
---|---|
색상 | 상품페이지 참고 |
치수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품페이지 참고 |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연월 | 상품페이지 참고 |
품질보증기준 | 상품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