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좋음
크기:21*32.5센치
보내1층20상4
**序: 重光大淵獻(1851)...李源祚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정언(廷彦), 호는 양직자(養直子). 고조할아버지는 첨절제사를 역임한 도의문(都義文)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전력부위 도순경(都舜卿)이며, 할아버지는 병마우후 도흠조(都欽祖)이다. 아버지는 병절교위 도원국(都元國)이다.
도성유(都聖兪)[1571~1649]는 어려서 송계(松溪) 권응인(權應仁)에게 수학하고, 1586년(선조 19) 낙재(樂齋) 서사원(徐思遠)의 문인이 되었다. 석담(石潭) 이윤우(李潤雨), 오봉(五峯) 이호민(李好閔), 모당(慕堂) 손처눌(孫處訥),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 투암(投巖) 채몽연(蔡夢硯), 등암(藤庵) 배상룡(裵尙龍), 극명당(克明堂) 장내범(張乃範), 동고(東皐) 서사선(徐思選), 수암(守庵) 정사진(鄭四震), 양전헌(兩傳軒) 채선견(蔡先見), 사월(沙月) 유시번(柳時藩), 묵헌 나응숙(羅應淑) 등과 교유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서사원을 따라 의병을 일으켜 군량을 조달하였다.
1603년(선조 36) 낙향한 한강(寒岡) 정구(鄭逑)를 찾아가 배례(拜禮)하였다. 이후 서사원, 정구를 스승으로 모시며 수학하였다. 1611년(광해군 3) 5월 정인홍(鄭仁弘)이 이언적(李彦迪)과 이황(李滉)의 문묘 종사를 반대하자 상경하여 손처눌(孫處訥) 등과 이언적·이황을 변무(辨誣)하는 상소를 올리고, 그해 8월 오현(五賢)의 문묘 종사 때에 신판(神版)의 글씨를 썼다. 1615년(광해군 7) 스승인 서사원이 병이 깊자 선사 서재(仙査書齋)의 재장(齋長)을 위임받았다. 1616년 와룡산 아래에 와룡 정사(臥龍精舍)를 짓고 학문과 저술에 힘썼다.
1622년(광해군 14) 이황을 제향하는 화암 서원[연경 서원]에 여러 사람과 뜻을 같이하여 정구를 제향하였으며, 이후 서원의 규모를 정비하고 원지(院誌) 편찬 및 원록(院錄) 수정을 하였다. 연경 서원 별사에 서사원을 제향하자는 논의가 있을 때, 도성유가 서사원의 강학소인 선사 서재에 묘우를 짓자고 제안하여 이강 서원(伊江書院)을 건립하여 봉향하였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당시 인조가 청나라에 항복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비분하여 세상을 등지고 지내다 일생을 마쳤다.
1616년(광해군 8) 『성리 정학(性理正學)』을 저술하였다. 1851년(철종 2) 후손들이 유문을 모아서 『양직 선생 문집(養直先生文集)』을 간행하였다.
제품소재 | 상품페이지 참고 |
---|---|
색상 | 상품페이지 참고 |
치수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품페이지 참고 |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 상품페이지 참고 |
제조연월 | 상품페이지 참고 |
품질보증기준 | 상품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