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제시기 학자,독립운동가 간찰첩(묘갈명,명문등) > 고서적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전화문의

010-3845-4358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조선~일제시기 학자,독립운동가 간찰첩(묘갈명,명문등)
    조선~일제시기 학자
    1,500,000
  • 1889년(광서15년) 교지
    1889년(광서15
    100,000
  • 1956년6월5일자 한국일보
    1956년6월5일자
    20,000
  • 1991년 월간화제 1월호
    1991년 월간화제
    20,000
  • 174-1989년 레코드판 노래를 찾는 사람들
    174-1989년
    40,000
  • 석판본 정성태(鄭聖泰) 원천실기(源泉實紀) 1책완질
    석판본 정성태(鄭聖
    80,000
  • 목활자본 천안이씨 이양호(李養浩) 경운유고(耕雲遺稿) 1책완질
    목활자본 천안이씨
    150,000
  • 일제시기 잔치사진
    일제시기 잔치사진
    100,000
  • 석판본 조선초기 고령출신학자 성산이씨 이기춘(李起春) 옥산선생유집(玉山先生遺集) 1책완질
    석판본 조선초기 고
    100,000
  • 1969년 조선중기문신 청주정씨 정탁(鄭琢) 약포선생문집(藥圃先生文集) 11권6책완질
    1969년 조선중기
    600,000
  • 석판본 벽진이씨 이원하(李元河) 곡은공실기(谷隱公實紀) 2권1책완질
    석판본 벽진이씨 이
    100,000
  • 1944년(소화19년) 6월26일자 국어교실 신문
    1944년(소화19
    20,000
  • 1911년 민국원년 사서집주(四書集註) 6책완질
    1911년 민국원년
    180,000
  • 1895년 목판본 상주출신 조선문신 개성고씨 고유(高裕) 추담선생문집(秋潭先生文集)4권2책완질
    1895년 목판본
    400,000
  • 연대가좋은 순은으로된 머리꽂이 장신구
    연대가좋은 순은으로
    59,000
  • 목활자본 주희(朱熹) 태사휘국문공년보(太師徽國文公年譜) 4책완질
    목활자본 주희(朱熹
    600,000
  • 134-진품 중국 1796년~1820년 가경통보(嘉慶通寶) 6점
    134-진품 중국
    59,000
  • 1956년 4월15일자 조선일보
    1956년 4월15
    20,000
  • 목활자본 조선후기학자 성주이씨 이진상(李震相) 사례의의혹문(四禮疑義或問) 4권2책완질
    목활자본 조선후기학
    400,000
  • 목판본 이수찬(李壽瓚) 매아시집(海亞詩集) 3권2책완질
    목판본 이수찬(李壽
    400,000
  • 1964년3월14일자 한국일보
    1964년3월14일
    20,000
  • 석판본 거창향안(居昌鄕案) 1책완질
    석판본 거창향안(居
    50,000
  • 1984년 12월 주부생활
    1984년 12월
    150,000
  • 석판본 이정기(李貞基) 제서선생문집부록(濟西先生文集附錄) 6권3책완질
    석판본 이정기(李貞
    210,000
  • 석판본 개항기학자 채문기(蔡文基) 흠재문집(欽齋文集) 4권2책완질
    석판본 개항기학자
    150,000
  • 1938년 박경원(朴京瑗) 우재문집(憂齋文集) 4권2책완질
    1938년 박경원(
    200,000
  • 1992년 헨드릭 하멜 하멜표류기
    1992년 헨드릭
    20,000
  • 석판본 심규(沈鍷) 나은문집(蘿隱文集) 4권2책완질
    석판본 심규(沈鍷)
    140,000
  • 목활자본 의령출신 독립운동가 전상무(田相武) 율산집(栗山集) 권1,2  2책
    목활자본 의령출신
    400,000
  • 1710년 목판본  유성룡(柳成龍) 성유록(聖諭錄) 1책완질
    1710년 목판본
    300,000
  • 1960년(단기4293년) 우편실체 내용물포함
    1960년(단기42
    30,000
  • 1992년 천춘미시집 나 있잖니 바보같이 널 사랑하나봐
    1992년 천춘미시
    20,000
  • 조선중기학자 정탁의 아들 정윤목(鄭允穆) 청풍자속집(淸風子續集) 1책완질
    조선중기학자 정탁의
    100,000
  • 석판본 망악정실기(望嶽亭實記) 1책완질
    석판본 망악정실기(
    80,000
  • 목활자본 영양김씨 김재곤(金在坤) 오봉유고(五峰遺稿) 2권1책완질
    목활자본 영양김씨
    200,000
  • 목판본 조식(曺植) 남명선생문집(南冥先生文集) 본집5권3책완질,학기류편2책완질
    목판본 조식(曺植)
    900,000
  • 석판본 전규락(全奎洛) 봉강문집(鳳岡文集) 4권2책완질
    석판본 전규락(全奎
    150,000
  • 1990년초판 손해일시집 흐르면서머물면서
    1990년초판 손해
    20,000
  • 석판본 김녕김씨 김영락(金永洛) 우산유집(右山遺集) 4권2책완질
    석판본 김녕김씨 김
    140,000

커뮤니티 최신글

접속자집계

오늘
5,587
어제
11,791
최대
13,072
전체
8,321,066

옛날물건 재고 현황

고서적
3,523,965,000원/14,223건
근대도서
3,204,268,500원/40,139건
근대시집
378,257,500원/2,683건
희귀고서적
1,123,620,000원/2,773건
교과서
444,345,000원/5,513건
간찰
67,945,000원/1,218건
한국미술품
429,015,500원/3,641건
일본미술품
1,009,159,500원/23,872건
중국미술품
512,989,000원/9,842건
기타
1,083,535,500원/11,451건
전체합계
11,777,100,500원/115,355건
조선~일제시기 학자,독립운동가 간찰첩(묘갈명,명문등) > 고서적

조선~일제시기 학자,독립운동가 간찰첩(묘갈명,명문등)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상품코드 1729827436
제조사 또는 연대 조선
원산지 한국
판매가격 1,500,000원
포인트 15,000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선택된 옵션

  • 조선~일제시기 학자,독립운동가 간찰첩(묘갈명,명문등)
    +0원
위시리스트

상품 정보

상품 상세설명

상태좋음

크기:22.5*33센치

보외1층앵글45상5

**정창묵(鄭昌默) 독립운동가

**일제 강점기 고창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창묵은 1884년 5월 26일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광대리에서 태어났다. 1938년 4월경 전라북도 정읍에서 정공일()·정휴규() 등과 함께 독립을 목적으로 비밀 결사 조직인 신인동맹()을 조직하고 동지 규합과 하부 조직 결성 및 자금 조성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평소 항일 의식이 투철했던 정창묵은 신인동맹 설립 초기부터 활동하며 동지들을 규합하는 데 적극적으로 가담하였다. 그러던 중 1940년 12월경 신인동맹이 일본 경찰에 발각되면서 검거되어, 1943년 10월 6일 전주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2년 6월을 언도 받고 옥고를 치렀다.

1997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정지순(鄭之純) 학자

이상호(李祥鎬) 학자

**퇴계의 13대손으로 태어난 양전(陽田)은 독실하게 학업에 전념하여 유도(儒道)로 내면을 확충한 선비였다. 퇴계의 학문에 뿌리를 둔 가학(家學)의 역사적 전통 위에 양전의 학문이 정립되었기 때문에 그는 유림(儒林)의 존경을 받았다. 퇴계의 문집을 보면 일평생 가장 중요시한 것이 바로 위기지학(爲己之學)임을 알 수 있는데, 위기지학을 강조한 퇴계의 가르침을 토대로 양전은 자신의 마음을 갈고 닦은 선비였다. 양전은 퇴계가 남긴 덕행(德行)과 가르침으로 수기(修己)에 전념하였으며, 퇴계의 위기지학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 강론하고 실천하였다. 특히 양전 에 의해 간행된 _동학(東學)_은 이러한 퇴계의 가르침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양전은 가학(家學)의 전통인 퇴계학을 계승하고 이를 _동학_에 구현함으로써 퇴계의 교육사상을 실천하는 데 기여하였다.『동학』은 양전의 가문에서 중시한 범절(凡節)을 가르침의 근간으로 하고 있다. 양전의 가문이 실천한 범절의 핵심은 선비 가문의 기풍(氣風)임을 알 수 있다. 양 전은 퇴계의 학문정신과 그 실천적 삶을 본보기로 삼으며 학퇴계(學退溪) 정신을 구현한 선비이다. 양전시는 체험에서 우러난 깊은 사유를 형상화한다는 점이 핵심이다. 퇴계의 학문정신과 실천적 삶을 인생의 지표로 삼아, 올곧은 선비의 모습을 견지하며 살았던 양전의 시에서는 퇴계시와 유사한 시적 정서를 보이는 경우가 발견된다. 독서하는 것이 산을 유람하는 것과 같음을 읊은 시가 그러한 예에 해당된다. 유가(儒家)에게 학문의 목적은 인욕(人欲)을 버리고 천리(天理)를 보존하는 것이었다. 도학적(道學的) 시세계는 사물을 관조하는 가운데 이루어지는 격물치지(格物致知)를 형상화한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퇴계시에 자주 발견되고 있는데, 양전의 시는 이러한 퇴계시의 특성과 동궤의 것이다.

이수겸(李壽謙) 학자

최종응(崔鍾應) 의병,독립운동가

**일제 강점기 달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경주(). 자는 성문(), 호는 금전(). 최근응()이라는 가명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최흥원()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최남교()이다.

최종응()[1871~1944]은 1871년 8월 21일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 372번지에서 태어났다. 1920년 8월 대한민국 임시 정부 경상북도 선정사(使)로 임명되어 군자금 모금 활동을 펼치게 된다. 1920년 9월 고일정()·윤철()·이태훈() 등과 경상도·충청도·전라도 등지를 돌아다니면서 친일 자산가 및 부호들의 자산 명부를 작성하고 군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 결과 경상북도 영천군 금호면 오계리조석환, 영천군 청경면 상리동손호창에게 각 군자금 1,000원을 제공하라고 요구하였다. 두 명으로부터 받은 2,000원 중 800원을 고일정에게 주었다. 1921년 2월 경상북도 칠곡군에 사는 윤병돈() 등을 비롯한 경상북도에 거주하는 부호 십여 명에게 각 2,000원 내지 5,000원을 요구하는 군자금 납입 명령서()를 송부하였다. 대구부 정차장 앞에서 윤병돈에게 300원을 받아 이태훈()에게 전달하였다. 1921년 2월경 이러한 일련의 군자금 모집 활동으로 인해 최종응은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1922년 3월 30일 공갈 및 제령 제7호 위반으로 대구 지방 법원에서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

정부에서는 최종응의 공훈을 기리어 1977년 대통령 표창을, 1990년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김호직(金浩直) 의병,독립운동가

**1874년(고종 11) 7월 26일∼1954년 2월 15일. 일제 강점기 의병. 자는 맹집(孟集)이고, 호는 우강(雨岡)이다. 본관은 안동(安東[舊])이고, 출신지는 경상북도 의성(義城) 사촌(沙村: 현 점곡면(點谷面))이다.

송은(松隱) 김광수(金光粹)의 후손으로, 부친은 김세종(金世鍾)이다. 생부 김회종(金會鍾)의 2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동생 김호집(金浩集)이 있다.
향산(響山) 이만도(李晩燾)의 문하에서 수학하며 경전(經典) 공부에 힘썼다.
1894년(고종 31) 식년시 진사 3등 696위로 합격하였다. 1895년(고종 32) 을미사변이 일어나 명성황후가 시해되고 고종이 파천하여 러시아공사관에 머무르게 되자, 의병을 일으킨 백부 김상종(金象鍾)을 따라다니면서 구성산전투(九城山戰鬪)를 지휘하는 등 여러 곳에서 공훈을 세웠다. 이후 평양‧원산‧개성 등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정세를 감지하고 기행문을 남겼다.
1910년(융희 4) 경술국치를 당한 후부터는 은거하면서 나라 잃은 백성이라며 집안의 대소사를 간략하게 치루었다.
1996년 정부로부터 공훈이 인정되어 건국포장에 추서되었다.

이수목(李壽穆) 칠곡출신 독립운동가

**일제강점기 칠곡 출신의 독립운동가.

1890년 8월 2일에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면 매원동[현 매원리]에서 태어났다. 1915년에 조선 국권 회복을 위한 자금 모집과 선전 활동을 하였으며, 1944년에는 여운형() 등의 조선건국동맹에서 재무 담당으로 활동하였다.

1915년 2월 28일 정월 대보름 시회()로 위장하여 달성군 수성면 안일암()에서 조선국권회복단 중앙총부()를 결성하였다. 당시 이수목은 단원으로서 단군대황조()에게 제사를 드리고 국권회복을 위해 싸울 것을 맹세한 후, 조직의 자금 모집과 선전 활동을 담당하였다. 그 후 1932년부터 장남 이두석()의 항일 활동을 도왔으며 1944년 8월 10일에 여운형()·조동호() 등이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과 일본의 패망을 예견하고 조선건국동맹()을 조직할 때 중앙의 재무 담당으로 자금조달 관리를 맡았다.











상품 정보 고시

제품소재 상품페이지 참고
색상 상품페이지 참고
치수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자 상품페이지 참고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연월 상품페이지 참고
품질보증기준 상품페이지 참고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상품페이지 참고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배송정보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교환/반품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

회사명 옛날물건 주소 경남 밀양시 중앙로 80-6 (가곡동)
사업자 등록번호 615-03-17906 대표 김동영 전화 010-3845-4358 팩스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03-14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김동영
Copyright © 2001-2013 옛날물건. All Rights Reserved.

전화문의

010-3845-4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