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활자본 송시열(宋時烈) 우암선생문집(尤菴先生文集) 7책 > 고서적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전화문의

010-3845-4358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금속활자본 송시열(宋時烈) 우암선생문집(尤菴先生文集) 7책
    금속활자본 송시열(
    900,000
  • 2010년 밀양문학 23
    2010년 밀양문학
    10,000
  • 1335-미개봉 테이프 세발자전거
    1335-미개봉 테
    20,000
  • 청동에 옷칠된 좌불상
    청동에 옷칠된 좌불
    359,000
  • 조선시대 희귀목판본 적벽부(赤壁賦)1책완질
    조선시대 희귀목판본
    400,000
  • 흑유청자백채 다완
    흑유청자백채 다완
    89,000
  • 1989년 영화연예 1월호
    1989년 영화연예
    50,000
  • 소화49년 일본간행잡지
    소화49년 일본간행
    20,000
  • 투각화문 노리개
    투각화문 노리개
    15,000
  • 2009년 김영식 10미터만 더 뛰어봐
    2009년 김영식
    10,000
  • 작가의 작품인 나무에 주칠이된 차반
    작가의 작품인 나무
    59,000
  • 근대사 금속으로된 미사용분곽과 함
    근대사 금속으로된
    10,000
  • 1973년 한국서예대가집서
    1973년 한국서예
    20,000
  • 비취청옥 옥반지
    비취청옥 옥반지
    15,000
  • 1963년 육군본부팜푸렛 육군 59호
    1963년 육군본부
    50,000
  • 1995년 자동차 프로세일즈매뉴얼 판매왕을 향하여
    1995년 자동차
    10,000
  • 1993년 주간조선 4월1일자
    1993년 주간조선
    20,000
  • 명품-원목나무 화대
    명품-원목나무 화대
    89,000
  • 연대가좋은 골동나무화대
    연대가좋은 골동나무
    10,000
  • 1995년 러브러브점 소라는 점장이
    1995년 러브러브
    20,000
  • 1995년 리빙센스 11월호
    1995년 리빙센스
    50,000
  • 흑유청자 한송이 화병
    흑유청자 한송이 화
    20,000
  • 1981년 이경희 자연식요법과 무병장수
    1981년 이경희
    20,000
  • 백자 진사금채 단풍문 완 3점
    백자 진사금채 단풍
    11,000
  • 중국목판본 사대기서제1종(四大奇書第一種) 3책
    중국목판본 사대기서
    150,000
  • 고필사본 상제례초(喪祭禮抄) 1책완질
    고필사본 상제례초(
    100,000
  • 1968년 산수 1-2
    1968년 산수 1
    100,000
  • 1955년 명학사 신웅변보전(新雄辯寶典)
    1955년 명학사
    100,000
  • 1987년 주간부산 2월15일자
    1987년 주간부산
    50,000
  • 24-실버 순은 진주 목걸이
    24-실버 순은 진
    129,000
  • 1969년 희망의 등불 제2집
    1969년 희망의
    150,000
  • 1933년 목활자본 조병규(趙昺奎) 일산선생문집(一山先生文集) 2책
    1933년 목활자본
    200,000
  • 미개봉 조립식 인형 5점
    미개봉 조립식 인형
    20,000
  • 1925년(大正14年) 일본교통분현지도
    1925년(大正14
    50,000
  • 1956년 정의택 최신해석
    1956년 정의택
    50,000
  • 1993년 영문판 일본과 유럽 1543~1929년 도록
    1993년 영문판
    50,000
  • 골동 비젠야끼(備前) 다관
    골동 비젠야끼(備前
    99,000
  • 빙열이 많은 청자 잔 2점
    빙열이 많은 청자
    10,000
  • 1954년 고등한문독본 2
    1954년 고등한문
    50,000
  • 바리가,졍신상회혼가(언문가사 두루마리)
    바리가,졍신상회혼가
    200,000
  • 100년이상된 고이마리 청화금채화문 대완 2점
    100년이상된 고이
    159,000
  • 미국산 본챠이나 화문 커피잔셋트
    미국산 본챠이나 화
    39,000
  • 필사본 고흥,산양,낙안,곡성 풍수관련 비요(秘要)1책완질
    필사본 고흥,산양,
    50,000
  • 745-미개봉 테이프 U2
    745-미개봉 테이
    10,000
  • 1921년 일본간행 부인세계 5월호
    1921년 일본간행
    50,000
  • 시가라끼 청자 주병
    시가라끼 청자 주병
    69,000
  • 1985년 샘터 5월호
    1985년 샘터 5
    40,000
  • 1960년 신문어사전
    1960년 신문어사
    50,000
  • 고목판본 무자신간영영장판 시전대전(詩傳大全) 2책
    고목판본 무자신간영
    100,000
  • 대형크기의 청동으로된 말탄도인 향로
    대형크기의 청동으로
    1,590,000
  • 1803년(계해)목활자본 흥양이씨족보(興陽李氏族譜) 6권6책완질
    1803년(계해)목
    900,000
  • 닌텐도 게임기
    닌텐도 게임기
    10,000
  • 1935년(소화10년) 제17회 염직미술전람회도록(染織美術展覽會圖錄)
    1935년(소화10
    100,000
  • 19-순은 반지
    19-순은 반지
    29,000
  • 외국산 우편엽서 3장
    외국산 우편엽서 3
    15,000
  • 나무에 금은채된 향합
    나무에 금은채된 향
    49,000
  • 연대가좋은 청화백자줄문 개완
    연대가좋은 청화백자
    29,000
  • 청자 오리배 저분과 저분받침 2셋트
    청자 오리배 저분과
    20,000
  • 19-2004년초판 연은미,조은화만화 나는 사슴이다2   9책완질
    19-2004년초판
    90,000
  • 미사용 차반 3점셋트
    미사용 차반 3점셋
    10,000
  • 석판본 김석신(金錫信) 경암시집(警菴詩集)1책완질
    석판본 김석신(金錫
    70,000
  • 라꾸청자 (樂) 청채음각돋음문 향로
    라꾸청자 (樂) 청
    69,000
  • 도포끈
    도포끈
    10,000
  • 화문이 양각된 기와
    화문이 양각된 기와
    20,000
  • 연대가좋은 고이마리 청화백자산수문 다관
    연대가좋은 고이마리
    59,000
  • 2002년 유운장편무예소설 마창 1
    2002년 유운장편
    10,000
  • 100-1984년 레코드판 박일남 84최신곡집
    100-1984년
    69,000
  • 1999년초판 김열권 깨달음으로 가는 오직 한길
    1999년초판 김열
    20,000
  • 골동명품-100년이상된 청화백자영락년제 적벽부완
    골동명품-100년이
    79,000
  • 1976년 김성배 한국불교가요의 연구
    1976년 김성배
    30,000
  • 1961년 중학국어 2-1
    1961년 중학국어
    60,000
  • 묵직한 주석재질로된 복신 조각상
    묵직한 주석재질로된
    20,000
  • 1977년 남서울 만화 마지막승부 3책완질
    1977년 남서울
    1,800,000
  • 연대가좋은 청자 우물모양 차도구
    연대가좋은 청자 우
    15,000
  • 1987년 박희을 변강쇠칼럼
    1987년 박희을
    20,000
  • 구다니 진사청자금채화문 주병
    구다니 진사청자금채
    20,000
  • 청화 및 진사백자화문 잔 2점
    청화 및 진사백자화
    10,000
  • 목활자본 송암선생실기(松庵先生實紀)4권2책완질
    목활자본 송암선생실
    500,000
  • 진사청자 금채나비문 필호 2점
    진사청자 금채나비문
    20,000
  • 1970년 최신원예 1월호
    1970년 최신원예
    50,000
  • 수공예품 크리스탈24% 대완
    수공예품 크리스탈2
    89,000
  • 보라색빛깔의 옥돌로된 말 조각상
    보라색빛깔의 옥돌로
    39,000
  • 조선시대 필사본 의서 상한(傷寒) 1책
    조선시대 필사본 의
    100,000
  • 1948년 목활자본 기정진(奇正鎭) 사상문인록(沙上門人錄)2권1책완질
    1948년 목활자본
    150,000
  • 2001년 동아대학교 소장품도록
    2001년 동아대학
    60,000
  • 1993년 시사저널 12월23일자
    1993년 시사저널
    15,000
  • 근대 작품 사진
    근대 작품 사진
    20,000
  • 1979년 과학과 기술 11월호
    1979년 과학과
    100,000
  • 1995년 주간조선 10월5일자
    1995년 주간조선
    20,000
  • 1986년초판 죽음의 저편 의식의 문
    1986년초판 죽음
    50,000
  • 1994년 한국춘란엽예명품집
    1994년 한국춘란
    30,000
  • 외사기 청화백자 소형주병
    외사기 청화백자 소
    15,000
  • 조선어표준말모음 1책완질
    조선어표준말모음 1
    150,000
  • 1999년 정연아 나만의 이미지가 성공을 부른다
    1999년 정연아
    10,000
  • 1984년초판 손소희(孫素熙)소설 그우기의 해와달
    1984년초판 손소
    20,000
  • 목판본간행 초간독(草簡牘) 상권 1책
    목판본간행 초간독(
    150,000
  • 흑오석 옥돌로된 태극팔쾌가 조각된 옥패
    흑오석 옥돌로된 태
    15,000
  • 1954년 이광수(李光洙) 문장독본(文章讀本)
    1954년 이광수(
    200,000
  • 금속합금재질로된 인물 조각상
    금속합금재질로된 인
    20,000
  • 묵직한 무쇠로된 인물 조각상
    묵직한 무쇠로된 인
    89,000
  • 1982년 어린왕자
    1982년 어린왕자
    20,000
  • 연대가좋은 좋은 청자화문 사각완
    연대가좋은 좋은 청
    49,000
  • 작가의 작품인 꽃그림
    작가의 작품인 꽃그
    10,000
  • 1996년 만화 소년챔프 53호
    1996년 만화 소
    30,000
  • 1989년초판 안건일수필집 겨울마을
    1989년초판 안건
    15,000
  • 연대가좋은 나무에 칠이된 호
    연대가좋은 나무에
    20,000
  • 1993년 김현준 바보가 되거라
    1993년 김현준
    10,000
  • 연대좋은 나무로된 목판
    연대좋은 나무로된
    80,000
  • 1956년 회의진행법
    1956년 회의진행
    80,000
  • 보석이 장식된 귀걸이 1쌍
    보석이 장식된 귀걸
    10,000
  • 1954년(소화29년) 일본간행 신국어 언어3
    1954년(소화29
    50,000
  • 연대좋은 이마리 청화백자용문 완
    연대좋은 이마리 청
    29,000
  • 목판본 국한문혼용 분류두공부시(分類杜工部詩)권4,5 1책
    목판본 국한문혼용
    100,000
  • 1915년 목판본간행 일헌집(一軒集)권1~5 2책
    1915년 목판본간
    80,000
  • 1949년 초등사회생활과 우리나라의 발달 2
    1949년 초등사회
    250,000
  • 경덕진 진청자 문수당(文壽堂) 자완
    경덕진 진청자 문수
    69,000
  • 청자백상감국화문 대완
    청자백상감국화문 대
    0
  • 필사본 간례휘찬(簡禮彙纂) 1책완질
    필사본 간례휘찬(簡
    100,000
  • 1953년 석판본 최익수(崔翊秀) 지산추도시고(芝山追悼詩稿) 1책완질
    1953년 석판본
    80,000
  • 1956년 국제생활
    1956년 국제생활
    100,000

커뮤니티 최신글

접속자집계

오늘
8,508
어제
10,343
최대
30,428
전체
10,984,093

옛날물건 재고 현황

고서적
3,502,405,000원/14,115건
근대도서
3,229,318,500원/41,696건
근대시집
380,277,500원/2,807건
희귀고서적
1,086,020,000원/2,719건
교과서
438,225,000원/5,448건
간찰
71,245,000원/1,269건
한국미술품
423,440,500원/3,595건
일본미술품
1,002,103,500원/23,697건
중국미술품
503,977,000원/9,761건
기타
1,081,311,500원/11,300건
전체합계
11,718,323,500원/116,407건
금속활자본 송시열(宋時烈) 우암선생문집(尤菴先生文集) 7책 > 고서적

금속활자본 송시열(宋時烈) 우암선생문집(尤菴先生文集) 7책 요약정보 및 구매

금속활자본 송시열(宋時烈) 우암선생문집(尤菴先生文集) 7책(조선시대)

상품코드 1232696689
제조사 또는 연대 조선시대
모델 3004616
판매가격 900,000원
포인트 9,000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최소구매수량 1 개
최대구매수량 1 개

상품의 재고가 부족하여 구매할 수 없습니다.

상품 정보

상품 기본설명

금속활자본 송시열(宋時烈) 우암선생문집(尤菴先生文集) 7책(조선시대)

상품 상세설명

금속활자본 송시열(宋時烈) 우암선생문집(尤菴先生文集) 7책 상태보통 보2상1 **송시열 (宋時烈 ; 1607~1689)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노론(老論)의 영수(領袖로서 본관은 은진(恩津)이며 자는 영보(英甫)이다. 그리고 호는 우암(尤庵) ·화양동주(華陽洞主)이며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아명은 성뢰(聖賚)였다. 아버지는 사옹원봉사 갑조(甲祚)이고, 어머니는 선산곽씨(善山郭氏)이다. 효종 즉위와 더불어 대거 정계에 진출해 산당(山黨)이라는 세력을 형성했던 송준길(宋浚吉)·이유태(李惟泰)·유계(兪棨)·김경여(金景餘)·윤선거(尹宣擧)·윤문거(尹文擧)·김익희(金益熙) 등과 함께 김장생(金長生)·김집(金集) 부자에게서 배웠다. 26세 때까지 외가인 충청도 옥천군 구룡촌에서 살다가 회덕(懷德)으로 옮겼다. 1633년(인조 11) 생원시(生員試)에 장원급제하여 최명길(崔鳴吉)의 천거로 경릉참봉(敬陵參奉)이 되었으나 곧 사직, 1635년 봉림대군(鳳林大君: 孝宗)의 사부(師傅)가 되었다. 이듬해 병자호란 때 왕을 호종(扈從)하여 남한산성으로 피란하였고, 1637년 화의가 성립되자 낙향, 1649년 효종이 보위에 오르자 장령(掌令)에 등용, 세자시강원진선(世子侍講院進善)을 거쳐 집의(執義)가 되었으나 당시 집권당인 서인(西人)의 청서파(淸西派 ; 인조반정에 간여하지 않았던 서인세력)에 속한 그는 공서파(功西派 ; 인조반정에 가담하여 공을 세운 서인세력)의 김자점(金自點)이 영의정이 되자 사직하고 다시 낙향하였다. 이듬해 김자점이 파직된 뒤 진선에 재임명되었으나 1651년(효종 2) 그가 찬술한 《장릉지문(長陵誌文)》에 청나라 연호를 쓰지 않았다고 김자점이 청나라에 밀고함으로써 청의 압력을 받아 사직하고 또 낙향, 충주목사(忠州牧師) ·집의 등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후진 양성에 전심하였다. 1658년(효종 9) 찬선에 등용, 이조판서로 승진, 효종과 함께 북벌계획을 추진하였으나 이듬해 효종이 죽자 그 계획은 중지되었다. 그 뒤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문제(服喪問題)가 제기되자 기년설(朞年說: 만 1년)을 주장하여 관철시키고 3년설을 주장하는 남인을 제거하여 정권을 장악, 좌참찬(左參贊) 등을 역임하면서 서인의 지도자로서의 자리를 굳혔다. 1660년(현종 1) 우찬성에 올랐을 때, 앞서 효종의 장지(葬地)를 잘못 옮겼다는 규탄을 받고 낙향하였고, 1668년 우의정이 되었으나 좌의정 허적(許積)과의 불화로 사직했다가 1671년 다시 우의정이 되고 이듬해 좌의정이 되었다. 1674년 인선왕후(仁宣王后)의 별세로 다시 자의대비의 복상문제가 제기되어 대공설(大功說: 9개월)을 주장하였으나 남인 쪽이 내세운 기년설이 채택됨으로써 실각, 제1차 복상문제 때 기년설을 채택하게 한 죄로 이듬해 덕원(德源)으로 유배, 그 뒤 여러 곳으로 유배장소가 옮겨졌다. 이처럼 예송은 2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차 예송(기해예송)은 효종이 죽은 뒤 그의 계모인 자의대비(慈懿大妃:趙大妃)가 효종의 상(喪)에 어떤 복을 입을 것인가를 두고 일어난 논란이었다. 조선 사회의 지배이념인 성리학에 근거한 예론(禮論)에서는 자식이 부모에 앞서 죽었을 때 그 부모는 그 자식이 적장자(嫡長子)인 경우는 3년상을, 그 이하 차자일 경우에는 1년상을 입도록 규정하였다. 인조는 첫째아들인 소현세자(昭顯世子)가 죽은 뒤 그의 아들이 있었음에도, 차자인 봉림대군(鳳林大君)을 세자로 책봉하여 왕통을 계승하게 하였다. 따라서 효종이 왕위에 오름으로써 왕통은 인조-효종으로 이어졌지만 적장자(적장자가 유고시 적장손)가 잇는 관념에서는 벗어난 일이었다. 여기에 1차 예송의 예론적 배경이 있다. 즉, 왕가라는 특수층의 의례가 종법(宗法)에 우선할 수 있는가 그렇지 않은가 하는 관점의 차이가 반영되어 있었다. 효종의 즉위와 같은 왕위계승에 나타나는 종통의 불일치를 성서탈적(聖庶奪嫡)이라고 표현하였는데, 기왕의 적통이 끊어지고 새로운 적통에 의해 왕위가 이어지게 되었음을 의미하는 말이다. 이는 왕위계승이 종법의 원리에 맞지 않는다 하더라도 이를 종법 체계 내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왕가의 의례라 할지라도 원칙인 종법으로부터 벗어나서는 안 된다는 관념의 표현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규정에 의거할 경우, 효종은 왕통상으로는 인조의 적통을 이었지만 종법상으로는 인조의 둘째아들이므로 효종의 계모인 자의대비는 당연히 종법에 따라 1년상을 입어야 할 일이다. 송시열(宋時烈)을 중심으로 한 서인 계열에서 1년상을 주장한 데 반하여 남인 계열에서는 윤휴(尹) ·허목(許穆) ·윤선도(尹善道) 등이 그러한 주장을 반박하고 나옴으로써 1차 예송이 본격화되었다. 남인측의 주장은 차자로 출생하였더라도 왕위에 오르면 장자가 될 수 있다는 허목의 차장자설에서 잘 드러난다. 이러한 논리는 천리(天理)인 종법이 왕가의 의례에서는 변칙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남인측의 주장은 “왕자예부동사서(王者禮不同士庶)”라는 말로 표현된다. 이러한 논리에 따르면 효종은 당연히 장자가 되는 것이며, 자의대비는 효종을 위하여 3년의 복을 입어야 할 것이었다. 서인과 남인의 왕실전례에 대한 이러한 입장의 차이는 단순한 예론상의 논란이 아니라, 그들이 우주만물의 원리로 인정한 종법의 적용에 대한 해석의 차이였으며, 이는 현실적으로는 권력구조와 연계된 견해 차이였으므로 민감한 반응으로 대립한 것이다. 1차 예송은 예론상으로는 종통문제를 변별하는 것이 핵심을 이루었으나, 결국 《경국대전》에 장자와 차자의 구분 없이 1년복을 입게 한 규정(국제기년복)에 의거하는 것으로 결말지어졌다. 결과적으로는 서인의 예론이 승리를 거두었으므로 서인정권은 현종 연간에 계속 유지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법질서에 있어서 효종의 위상에 대한 논란은 결론을 보지 못하였으며, 이 문제는 결국 2차 예송의 빌미가 되었다. 2차 예송(갑인예송)은 효종의 비인 인선왕후(仁宣王后)가 죽자 조대비(趙大妃:자의대비)가 어떤 상복을 입을 것인가 하는 문제를 놓고 벌어졌다. 1차 예송에서는 국제기년복(國制朞年服)이 채택됨으로써 효종의 장자 ·차자 문제가 애매하게 처리되었으나, 인선대비가 죽으면서 이 문제가 다시 표면으로 떠올랐다. 즉 효종을 장자로 인정한다면 인선대비는 장자부이므로 대왕대비는 기년복(1년)을 입어야 하지만, 효종을 차자로 볼 경우 복제는 대공복(大功服:9개월)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었다. 예조에서는 처음에 기년복으로 정하였다가, 다시 꼬리표를 붙여서 대공복으로 복제를 바꾸어 올렸다. 현종은 예조에서 대공복제를 채택한 것은 결국 효종을 차자로 보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여 잘못 적용된 예제로 판정하였다. 이후 송시열계의 서인세력이 대대적으로 정계에서 축출되면서 결국에는 남인정권이 들어서는 계기를 이루었다. 1680년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남인이 실각하게 되자 중추부영사(中樞府領事)로 기용되었다가 1683년 벼슬에서 물러나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 이 무렵 남인에 대한 과격한 처벌을 주장한 김석주(金錫胃)를 지지함으로써 많은 비난을 받았는데 그 중에서도 제자 윤증(尹拯)과의 감정대립이 악화되어 마침내 서인은 윤증 등 소장파를 중심으로 한 소론(少論)과 그를 영수로 한 노장파의 노론(老論)으로 다시 분열되었다. 그 뒤 정계에서 은퇴하고 청주 화양동에서 은거생활을 하였는데 1689년 왕세자가 책봉되자 이를 시기상조라 하여 반대하는 상소를 했다가 제주에 안치되고 이어 국문(鞠問)을 받기 위해 서울로 오는 도중 정읍(井邑)에서 사사(賜死)되었다. 1694년 갑술옥사(甲戌獄事) 뒤에 신원(伸寃)되었다. 주자학(朱子學)의 대가로서 이이(李珥)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류를 이루었으며 이황(李滉)의 이원론적(二元論的)인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배격하고 이이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지지, 사단칠정(四端七情)이 모두 이(理)라 하여 일원론적(一元論的) 사상을 발전시켰으며 예론(禮論)에도 밝았다. 즉, 송시열은 젊은 시절 이이의 학통을 계승한 김장생과 그의 아들 김집의 문하에서 성리학과 예학을 수학했는데 그의 학문은 바로 이러한 기호학파의 학맥을 근간으로 형성되었다. 이기론(理氣論)에서 그는 이황의 이원론적인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배격하고 이이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지지, 사단칠정(四端七情)이 모두 이(理)라 하는 일원론적 사상을 발전시켰다. 또한 정통 성리학자로서 그는 주자의 학설을 전적으로 신봉하고 실천하는 것으로 평생의 업을 삼았다. 〈주자대전 朱子大全〉·〈주자어류 朱子語類〉의 연구에 몰두하여 〈주자대전차의 朱子大全箚疑〉·〈주자어류소분 朱子語類小分〉 등의 저술을 남긴 것은 이같은 그의 학문세계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그의 이러한 학풍은 기본적으로 양란 후의 사회적·정치적 동요를 수습해서 양반지배체제를 재건하고 나아가서는 조선과 명(明)의 '원수'인 청을 물리치고 중화적 세계질서를 회복하고자 한 현실인식의 반영이었다. 곧 주자학의 명분론인 삼강오륜을 사회운영의 원리로 파악하여, 청에 대한 복수의 근거를 명에 대한 강상(綱常)·군신(君臣)의 관계에서 찾았다. 이같은 북벌론은 당연히 조선왕조의 부국강병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었고, 이를 위해 정치적·사회적인 측면에서 송시열이 강조했던 것은 '세도정치론'(世道政治論)이었다. 이는 강상윤리를 기초로 하는 사회기강의 확립과 주자학적인 의리(義理)·도학(道學)의 실현에 목표를 두는 것이었으며, 또 이의 실현주체로서 성학(聖學)의 수양을 쌓은 성인(聖人)으로서의 군주를 상정하는 것이었지만 그러한 군주가 없을 경우에는 현인(賢人) 재상(宰相)이 전권을 행사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결국 현실적으로는 세도정치의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군자당(君子黨)은 노론뿐이라는 당파적 이해를 대변하는 것이었다. 그러한 면에서 그는 주자의 교의에서 벗어나 본래의 공맹(孔孟)에서 유학을 재정립하고 군주 중심의 정치운영방식을 추구하고자 했던 허목(許穆)이나 윤휴 등 남인의 학자들과 커다란 차이를 드러냈던 것이다. 복상을 둘러싼 2차례의 예송에 깊이 간여하면서 남인과 대립했던 이면에는 이와 같은 입장의 차이가 있었다. 기사환국으로 노론이 실각하면서 송시열의 이같은 정치운영론은 일단 실패했으나, 18세기 후반 이후 노론의 일당전제정치 확립 이후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체계로서 정치와 학문 양 측면에서 거의 독점적인 지위를 구축했다.한편, 송시열은 보수적인 서인, 특히 노론의 입장을 대변하여 명에 대한 존주대의와 병자호란에 대한 복수설치가 국가정책의 기조가 되어야 함을 역설했다. 그것은 춘추대의(春秋大義)에 입각한 유교적 명분론의 표현임과 동시에 양란 이후 국가재조(國家再造)의 과정에서 요구되는 국가기강의 확립과 민생의 안정을 위한 강력한 통치이념의 필요에서 나온 것이기도 했다. 국가재조의 방향에 있어서 그는 봉건국가의 틀을 유지·강화하는 가운데 그 운영을 개선하여 양란 이후의 사회적 모순에 대처해나가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송시열은 이 시기 정전론(井田論)·기전론(箕田論)으로 집약되던 토지개혁론에 대해 반대했다. 곧 그는 주자의 정전제난행설(井田制難行說)에 따라 정전제는 토지가 적고 인구가 많은 시기에는 실현할 수 없으며 병란을 거치고 인구가 감소한 뒤가 아니면 시행할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그가 양란 후의 사회경제 재건을 위해 내놓은 대책은 부세제도(賦稅制度)와 재정제도를 부분적으로 개선하는 방향이었다. 즉 부세제도의 개선을 통해서 문란해진 농민수취 질서를 재정비하여 농민부담을 경감시키는 한편 국가재정을 강화한다는 것이 그 주요내용이었다. 내수사(內需司) 혁파, 궁방전(宮房田) 억제, 군영(軍營) 감축, 호적법·호패법·향약·사창법·노비종모법(奴婢從母法)·대동법·호포법 등의 재정비·실시 등 송시열이 제기한 구체적 방책들은 농민의 각종 세의 부담을 줄이는 대신, 세를 부담하는 양민층을 확대하고 국가의 재용(財用)을 절감함으로써 국가재정을 튼튼히 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사회경제제도의 근본적 개혁을 통해 민산(民産)을 안정·발전시키는 것이 강력하게 요구되는 시점에서 송시열의 부분적인 제도개선책으로서는 점차 높아가는 사회불안과 체제동요를 막을 수 없었다. 송시열이 강상윤리를 강조하고 이를 통해서 국가·사회 기강을 철저히 확립하고자 했던 것은 이를 염두에 둔 것이기도 했다. 성격이 과격하여 정적(政敵)을 많이 가졌으나 그의 문하에서 많은 인재가 배출되었으며 글씨에도 일가를 이루었다. 문묘(文廟) ·효종묘(孝宗廟)를 비롯하여 청주의 화양서원(華陽書院), 여주의 대로사(大老祠), 수원의 매곡서원(梅谷書院) 등 전국 각지의 많은 서원에 배향되었다. 저서에 《송자대전(宋子大全)》 《우암집(尤庵集)》 《송서습유(宋書拾遺)》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 《정서분류(程書分類)》 《주자어류소분(朱子語類小分)》 《논맹문의통고(論孟問義通攷)》 《심경석의(心經釋義)》 《사계선생행장(沙溪先生行狀)》 등이 있다.





상품 정보 고시

품명 상품페이지 참고
모델명 상품페이지 참고
법에 의한 인증·허가 등을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 그에 대한 사항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국 또는 원산지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자 상품페이지 참고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또는 소비자상담 관련 전화번호 상품페이지 참고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배송정보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교환/반품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

회사명 옛날물건 주소 경남 밀양시 중앙로 80-6 (가곡동)
사업자 등록번호 615-03-17906 대표 김동영 전화 010-3845-4358 팩스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03-14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김동영
Copyright © 2001-2013 옛날물건. All Rights Reserved.

전화문의

010-3845-4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