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활자본 송시열(宋時烈) 우암선생문집(尤菴先生文集) 7책 > 고서적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전화문의

010-3845-4358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금속활자본 송시열(宋時烈) 우암선생문집(尤菴先生文集) 7책
    금속활자본 송시열(
    900,000
  • 1946년 해방조선 10전 우편사용실체 내용물포함
    1946년 해방조선
    100,000
  • 52-근대사 미사용 도수가 없는 안경
    52-근대사 미사용
    29,000
  • 1982년 어린왕자
    1982년 어린왕자
    20,000
  • 1949년 초등사회생활과 우리나라의 발달 2
    1949년 초등사회
    250,000
  • 2002년 도올김용옥 달라이라마와 도올의 만남 3권3책완질
    2002년 도올김용
    60,000
  • 1975년초판 일리인 인간의 역사
    1975년초판 일리
    30,000
  • 목판본 병오중추 완산신간 아희원람(兒戱原覽) 1책완질
    목판본 병오중추 완
    150,000
  • 2005년 손연자소설 까망머리 주디
    2005년 손연자소
    15,000
  • 1960년 해남군 옥천면 면세일람 1책완질
    1960년 해남군
    80,000
  • 초소형 두루마리 밀성박씨가보
    초소형 두루마리 밀
    60,000
  • 1973년 미술 2
    1973년 미술 2
    40,000
  • 연대가좋은 고이마리 청화백자진사금채화문 대완
    연대가좋은 고이마리
    49,000
  • 2000년 만화잡지 윙크 11월1일자
    2000년 만화잡지
    30,000
  • 1958년 세계문학전집 제1기 20세기시집
    1958년 세계문학
    150,000
  • 무쇠로된 문자가 새겨진 재털이
    무쇠로된 문자가 새
    10,000
  • 2006년 바스콘셀로스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 햇빛사냥
    2006년 바스콘셀
    15,000
  • 1986년초판 박재삼 차한잔의 팡세
    1986년초판 박재
    20,000
  • 1986년 정비석(鄭飛石) 퇴계일화선(退溪逸話選)
    1986년 정비석(
    40,000
  • 1947년 밀양 산외공립국민학교 졸업사진
    1947년 밀양 산
    100,000
  • 1959년 원본소학집주 상권 1책
    1959년 원본소학
    30,000
  • 철화청자 금채진사화문 호
    철화청자 금채진사화
    69,000
  • 1985년 노인생활 2월호
    1985년 노인생활
    30,000
  • 희귀목판본 소학집설(小學集說) 권6終 1책
    희귀목판본 소학집설
    200,000
  • 1974년 희영 만화 귀부인 3책완질
    1974년 희영 만
    1,800,000
  • 석판본 무열사시고(武熱祠詩稿) 1책완질
    석판본 무열사시고(
    50,000
  • 대명선덕명 청동으로된 주자호
    대명선덕명 청동으로
    89,000
  • 골동-분청자 말자완
    골동-분청자 말자완
    129,000
  • 밀양출신 장원급제한 박해철(朴海徹) 창번집(滄樊集)3책
    밀양출신 장원급제한
    150,000
  • 청화백자진사금채화문 평안춘양(平安春陽) 수통
    청화백자진사금채화문
    189,000
  • 803-미개봉 테이프 MILLI VANILLI
    803-미개봉 테이
    10,000
  • 1988년 미술세계 7월호
    1988년 미술세계
    20,000
  • 1993년 시사저널 4월22일자
    1993년 시사저널
    20,000
  • 원목나무를 통으로 조각한 화대
    원목나무를 통으로
    10,000
  • 연대가좋은 청화백자줄문 개완
    연대가좋은 청화백자
    29,000
  • 2002년 일본어교재
    2002년 일본어교
    10,000
  • 2011년초판 고든 레어드 가격파괴의 저주
    2011년초판 고든
    20,000
  • 30-조선시대초기 백자 해무리굽 자완
    30-조선시대초기
    59,000
  • 2002년 만화 20세기소년 권5~7  3책
    2002년 만화 2
    20,000
  • 송암선생문집(松巖先生文集)6권2책,속집6권2책완질 권호문(權好文)
    송암선생문집(松巖先
    4,000,000
  • 1935년 조선산 어류 원료
    1935년 조선산
    250,000
  • 도포끈
    도포끈
    10,000
  • 1949년초판 일반과학 동물계
    1949년초판 일반
    150,000
  • 채색유리로된 수공 유리공예 화병
    채색유리로된 수공
    39,000
  • 1996년 중국간행 민국서화가휘전
    1996년 중국간행
    20,000
  • 연활자본 문묘성현약사(文廟聖賢略史) 1책완질
    연활자본 문묘성현약
    50,000
  • 퇴계선생(退溪先生)관련 연구논문
    퇴계선생(退溪先生)
    20,000
  • 이라보 청자 다관
    이라보 청자 다관
    39,000
  • 1935년 목활자본 소세양(蘇世讓) 양곡선생문집(陽谷先生文集) 4책
    1935년 목활자본
    200,000
  • 시가라끼 청자 수구
    시가라끼 청자 수구
    49,000
  • 1931년 목활자본 신상규(申相圭) 만서유고(晩棲遺稿)4권1책완질
    1931년 목활자본
    100,000
  • 2001년 은희경 장편소설 마이너리그
    2001년 은희경
    10,000
  • 직접그린 그림
    직접그린 그림
    20,000
  • 1959년 고시계 신년호
    1959년 고시계
    50,000
  • 1976년 일본잡지 태양(太陽)
    1976년 일본잡지
    20,000
  • 1919년 경성한성서관 서상기(西廂記)1책완질
    1919년 경성한성
    200,000
  • 활자본 강린(姜璘) 국로추사(菊露秋寫)권1 1책
    활자본 강린(姜璘)
    150,000
  • 1991년초판 김석규,김경호 학습만화 갈릴레이
    1991년초판 김석
    20,000
  • 목활자본 정인홍(鄭仁弘) 내암선생문집(來庵先生文集)권7~12 3책
    목활자본 정인홍(鄭
    300,000
  • 보석이 장식된 귀걸이 1쌍
    보석이 장식된 귀걸
    10,000
  • 1984년 도별지도
    1984년 도별지도
    20,000
  • 1995년 영어세계 8월호 잡지
    1995년 영어세계
    30,000
  • 1998년7월9일 뉴스메이커
    1998년7월9일
    20,000
  • 나무에 옷칠이된 미사용 차반
    나무에 옷칠이된 미
    20,000
  • 근대 작품 사진
    근대 작품 사진
    20,000
  • 1987년 광주의거자료집2 오월 그날이 다시오면
    1987년 광주의거
    50,000
  • 1986년 월간잡지 빛 12월호
    1986년 월간잡지
    20,000
  • 수헌정시집(守軒亭詩集) 1책
    수헌정시집(守軒亭詩
    20,000
  • 순백자 음각화문 부부잔셋트
    순백자 음각화문 부
    29,000
  • 1910년 일본간행 신편한문독본 권5
    1910년 일본간행
    30,000
  • 나주간행 석판본 주은세고(酒隱世稿) 2권1책완질
    나주간행 석판본 주
    50,000
  • 청동으로된 죽절 여인이 조각된 차스푼
    청동으로된 죽절 여
    20,000
  • 6-1991년 레코드판 윤영아
    6-1991년 레코
    69,000
  • 1978년초판 朴光緖단편 맹신부의 수염
    1978년초판 朴光
    80,000
  • 1985년 밀양여자고등학교 난초 제4호
    1985년 밀양여자
    30,000
  • 87-1985년 레코드판 지예
    87-1985년 레
    69,000
  • 1965년초판 양명문(楊明文)시집 이목구비(耳目口鼻)
    1965년초판 양명
    200,000
  • 1941년 日本刊 異常兒 1책완질
    1941년 日本刊
    30,000
  • 석판본 변정록(辨訂錄) 2권1책완질
    석판본 변정록(辨訂
    50,000
  • 1942년(민국31년) 중국문서
    1942년(민국31
    50,000
  • 1984년 일본간행 항공잡지 10월호
    1984년 일본간행
    12,500
  • 체코슬로바키아산 보헤미안 크리스탈 깍은 화병
    체코슬로바키아산 보
    99,000
  • 1968년 재벌들(財閥들)
    1968년 재벌들(
    20,000
  • 1980년 조선일보 명사설 500선
    1980년 조선일보
    50,000
  • 1993년 한글학회 얼음장 밑에서도 물은 흘러
    1993년 한글학회
    20,000
  • 대동문수(大東文粹)1책완질 장지연(張志淵)
    대동문수(大東文粹)
    0
  • 89-1982년 레코드판 나훈아
    89-1982년 레
    69,000
  • 1962년 사회교육문고 주부독본
    1962년 사회교육
    20,000
  • 1953년 협동(協同) 신년호
    1953년 협동(協
    400,000
  • 1992년 스윙글 싱어즈 내한공연 팜플렛,입장권 2장
    1992년 스윙글
    30,000
  • 조선시대 목판본 임오신간영영장판 논어집주대전 20권7책완질
    조선시대 목판본 임
    700,000
  • 1876년 내사본 어정규장전운(御定奎章全韻)1책완질
    1876년 내사본
    300,000
  • 1940년 해수욕 사진
    1940년 해수욕
    20,000
  • 1998년 이영미 재미있는 연극 길라잡이
    1998년 이영미
    10,000
  • 희귀역(易)관련 고필사본 기문인파결(奇門絪波訣) 1책완질
    희귀역(易)관련 고
    300,000
  • 1955년초판 한하운(韓何雲)시집 보리피리
    1955년초판 한하
    1,000,000
  • 1997년 성인만화 빅점프
    1997년 성인만화
    30,000
  • 근대사 미국산 청진기
    근대사 미국산 청진
    69,000
  •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권지1 1책완질
    묘법연화경(妙法蓮華
    700,000
  • 나무에 금채된 잔 5점
    나무에 금채된 잔
    20,000
  • 1994년초판 가자미 준 크리스마스 유령사건
    1994년초판 가자
    20,000
  • 소화51년 일본간행 고등한문
    소화51년 일본간행
    20,000
  • 1954년 교육연구 3월호
    1954년 교육연구
    100,000
  • 1933년 목활자본 조병규(趙昺奎) 일산선생문집(一山先生文集)3책
    1933년 목활자본
    300,000
  • 분청초화문완
    분청초화문완
    50,000
  • 청록청자 퇴수기
    청록청자 퇴수기
    49,000
  • 1944년(소화19년) 일본간행 후등신평전(後藤新平傳) 상권 1책
    1944년(소화19
    50,000
  • 희귀필사본 단정직인노조사광태식경(丹亭直人盧祖師廣胎息經) 1책완질
    희귀필사본 단정직인
    300,000
  • 미사용 돌벼루,무쇠로된 문진,연적,붓받침,먹,대나무먹손잡이 세트
    미사용 돌벼루,무쇠
    89,000
  • 미발견필사본 신석휴(申錫休) 양사개록(兩史槪錄)1책완질
    미발견필사본 신석휴
    200,000
  • 1992년 소년만화 아이큐점프 10호
    1992년 소년만화
    20,000
  • 2005년초판 이내화 핀포인트전략
    2005년초판 이내
    10,000
  • 1963년 김용호(金容浩) 현대문학감상(現代文學鑑賞)
    1963년 김용호(
    300,000
  • 1976년 재정 6월호
    1976년 재정 6
    50,000
  • 조선시대 간찰
    조선시대 간찰
    20,000
  • 분청사기 음각화문 대호
    분청사기 음각화문
    189,000
  • 2016년 고제회 골동품경매 도록
    2016년 고제회
    20,000
  • 100년이상된 일본수진절첩본 불경 서국삼십삼소어영가
    100년이상된 일본
    20,000
  • 1950년 권오익 새상업경제
    1950년 권오익
    100,000
  • 1996년10월24일 뉴스플러스
    1996년10월24
    20,000
  • 1973년 중앙정보부내무부 국민대공교범 제2집
    1973년 중앙정보
    100,000
  • 1956년 고등 국어 3
    1956년 고등 국
    50,000
  • 1994년 페퍼화이트 박인호옮김 MIT의 공부벌레들
    1994년 페퍼화이
    10,000
  • 목판본 용호유고(龍湖遺稿)4권2책완질
    목판본 용호유고(龍
    300,000
  • 1985년 파울클레회화에 있어서의 음악적 요소
    1985년 파울클레
    20,000
  • 1982년 도덕 4-1
    1982년 도덕 4
    30,000
  • 1988년 일본 고미술
    1988년 일본 고
    30,000
  • 2000년4월27일 주간조선
    2000년4월27일
    20,000
  • 1974년 월성 만화 고발 3책완질
    1974년 월성 만
    1,800,000
  • 화시팔대충효록 1책완질
    화시팔대충효록 1책
    0
  • 1935년 합천간행 목활자본 이정두(李正斗) 난초유고(蘭樵遺稿)2권1책완질
    1935년 합천간행
    200,000
  • 묵직한 칠보화문 사각반
    묵직한 칠보화문 사
    59,000
  • 842-미개봉 테이프 아다모
    842-미개봉 테이
    10,000
  • 목판본 신편고금사문류취(新編古今事文類聚) 3책
    목판본 신편고금사문
    300,000
  • 1997년12월25일 뉴스플러스
    1997년12월25
    20,000
  • 2014년초판 대파한뿌리감성소설 원초적 애증관계
    2014년초판 대파
    15,000
  • 1857년(함풍7년) 설순(雪淳) 필사기가 있는 류합문(類合文) 1책완질
    1857년(함풍7년
    500,000
  • 1982년 새교실 2학년 12월호
    1982년 새교실
    50,000
  • 1986년초판 유안진 부르고 싶은 이름으로
    1986년초판 유안
    20,000
  • 회양목나무에 포대화상이 조각된 패
    회양목나무에 포대화
    20,000
  • 2013년 일본고제회 골동품경매 도록
    2013년 일본고제
    20,000
  • 연대가 좋은 청화백자 양각화문 자완
    연대가 좋은 청화백
    15,000
  • 1989년 전기의 발견과 숫자의 내력
    1989년 전기의
    20,000
  • 보석이 장식된 부엉이와 돋보기 목걸이
    보석이 장식된 부엉
    20,000
  • 목판본 전주하경룡장판 중용(中庸) 1책완질
    목판본 전주하경룡장
    50,000
  • 아리따야끼 청자어문 잔
    아리따야끼 청자어문
    10,000
  • 1993년 고룡 역사대하소설 편복전기 3
    1993년 고룡 역
    10,000
  • 2011년초판 문단열의 기초영문법(CD수록) 기본서
    2011년초판 문단
    10,000
  • 남부철기 무쇠로된 원숭이 차걸이(차도구) 3점
    남부철기 무쇠로된
    25,000
  • 신연활자본 동국명현요람록(東國名賢要覽錄)
    신연활자본 동국명현
    50,000
  • 2015년 실상문학 겨울
    2015년 실상문학
    20,000
  • 1954년 한춘섭 사회생활과 중등공민 경제생활
    1954년 한춘섭
    150,000
  • 도자기 새모양 피리가달린 잔
    도자기 새모양 피리
    20,000
  • 1931년 일본刊 사중복음(四重福音)
    1931년 일본刊
    30,000
  • 1971년 강우철 현대교육기술강좌2
    1971년 강우철
    30,000
  • 1986년 월간 가정과 청소년 창간호
    1986년 월간 가
    100,000
  • 목판본 김성일(金誠一) 학봉(鶴峰)행장 부록 1책
    목판본 김성일(金誠
    100,000
  • 1975년(소화50년) 인도의 직문(印度 織文)
    1975년(소화50
    200,000
  • 목판본 미수선생년보 6권2책완질
    목판본 미수선생년보
    360,000
  • 연대가좋은 돌벼루
    연대가좋은 돌벼루
    39,000
  • 순은으로된 돌고래문양 목걸이
    순은으로된 돌고래문
    69,000
  • 실습일지 1책완질
    실습일지 1책완질
    0
  • 분재.란교실 10월호
    분재.란교실 10월
    15,000
  • 박씨전(朴氏傳)1책완질
    박씨전(朴氏傳)1책
    200,000
  • 1962년 미국간행 J.D.SALINGER
    1962년 미국간행
    30,000
  • 1970년 삼분지압요법
    1970년 삼분지압
    20,000
  • 1956년 농민생활 7.8월호
    1956년 농민생활
    200,000
  • 1973년 하성국민학교 상장
    1973년 하성국민
    20,000
  • 1918년 김택영(金澤榮) 한사계(韓史棨) 6권1책완질(조선역사서)
    1918년 김택영(
    500,000
  • 342-미개봉 테이프 형사 세르피코
    342-미개봉 테이
    10,000
  • 목판본 기정진(奇正鎭) 노사선생문집(蘆沙先生文集) 8책
    목판본 기정진(奇正
    800,000
  • 1994년 강일구 우리가 살아가는 지혜
    1994년 강일구
    10,000
  • 1954년 이기홍 농업경제개론
    1954년 이기홍
    30,000
  • 1960년 공주동학사삼은사 위치분쟁 한산이씨측발행 반증문에 대한 해명
    1960년 공주동학
    20,000
  • 500-미개봉 테이프 윤항기 윤복희
    500-미개봉 테이
    20,000
  • 1976년 300부한정판 여수백과(麗水百科)
    1976년 300부
    50,000
  • 1965년 내일을 위하여 화보집
    1965년 내일을
    50,000
  • 1934년 금융조합 계 장부
    1934년 금융조합
    100,000
  • 1962년 농촌지도 4월호
    1962년 농촌지도
    100,000
  • 1966년 농약편람
    1966년 농약편람
    40,000
  • 1913년(대정2년) 번한보독본(藩翰譜讀本) 1책완질
    1913년(대정2년
    50,000
  • 1982년 흘러간노래특선집
    1982년 흘러간노
    50,000
  • 1955년(갑오보) 진주강씨세보(晉州姜氏世譜) 3책완질
    1955년(갑오보)
    210,000
  • 청자 철화추상화문 말찻잔
    청자 철화추상화문
    39,000
  • 100년이상된 청자 음각화문 화형완
    100년이상된 청자
    59,000
  • 수백명의 방문객명단이 있는 조선시대 필사본 위문록
    수백명의 방문객명단
    50,000
  • 연대가좋은 외사기 청화백자추상화문완 2점
    연대가좋은 외사기
    15,000
  • 1958년 지방행정 5월호
    1958년 지방행정
    150,000
  • 캐논 카메라
    캐논 카메라
    20,000
  • 연대가좋은 구다니 청화백자 산수화문 잔과 스푼
    연대가좋은 구다니
    29,000
  • 국의지남(國醫指南)1책완질 (醫書)
    국의지남(國醫指南)
    0
  • 1995년 피시게임월드 5월호 별책부록
    1995년 피시게임
    60,000
  • 나무호패4점
    나무호패4점
    400,000
  • 1921년(대정10년) 염직 도록
    1921년(대정10
    100,000
  • 1958년 국민학교 보건생활 6
    1958년 국민학교
    400,000
  • 1955년 부산광복교회 관련,권영두(權泳斗) 요리문답 6장
    1955년 부산광복
    200,000
  • 1967년 한말외교사 연구
    1967년 한말외교
    50,000
  • 목판본 지씨홍사제왕통기(池氏鴻史帝王統紀)권1,2   2책
    목판본 지씨홍사제왕
    200,000
  • 2011년 윤수종엮음 다르게 사는 사람들
    2011년 윤수종엮
    10,000
  • 2008년 일본고제회 골동품경매도록
    2008년 일본고제
    10,000
  • 1954년 김정돈(金正敦) 권리를 위한 투쟁
    1954년 김정돈(
    50,000
  • 300년이상된 고목판본 소학(小學) 1책
    300년이상된 고목
    300,000
  • 에도시기 일본목판본 서양사략(西洋史略)상권 1책
    에도시기 일본목판본
    50,000
  • 1985년 한국유모어
    1985년 한국유모
    20,000
  • 1978년재판 정태혁(鄭泰爀)譯 소녀방중경(素女房中經)
    1978년재판 정태
    20,000
  • THE NATIONAL ENGLISH READERS 2책
    THE NATION
    0
  • 목판본 김홍 구와선생문집속집(龜窩先生文集續集)권3,4 1책
    목판본 김홍 구와선
    100,000
  • 석판본 성암유고(性庵遺稿)권2終  1책
    석판본 성암유고(性
    50,000
  • 1049-미개봉 테이프 오티스레딩
    1049-미개봉 테
    10,000
  • 청자 철화 다관
    청자 철화 다관
    39,000
  • 1926년 일본간행 신수한문 권3
    1926년 일본간행
    30,000
  • 2001년초판 이원성 오후의 산책(저자싸인본)
    2001년초판 이원
    20,000
  • 1981년 신유년 생활민력
    1981년 신유년
    15,000
  • 1429-미개봉 테이프 스칼렛
    1429-미개봉 테
    20,000
  • 1993년 이청준 연작소설 서편제
    1993년 이청준
    20,000
  • 1995년 광주비엔날레 공연행사 도록
    1995년 광주비엔
    30,000
  • 1998년7월23일 뉴스플러스
    1998년7월23일
    20,000
  • 1991년 김용옥 대화 김위중.김용옥만남
    1991년 김용옥
    15,000
  • 나무두껑 시가라끼 청자 수통
    나무두껑 시가라끼
    129,000
  • 1996년 하병무장편소설 남자의 향기 제1권 슬픈인연
    1996년 하병무장
    20,000
  • 1989년 가례(家禮)서식백과
    1989년 가례(家
    10,000
  • 목판본 하동정씨 정여창(鄭汝昌) 일두선생유집(一두先生遺集)2권1책완질
    목판본 하동정씨 정
    200,000
  • 1997년 잭 캔필드 마음을 열어주는 101가지 이야기
    1997년 잭 캔필
    20,000
  • 골동-분청자줄문 쭈그리 잔
    골동-분청자줄문 쭈
    20,000
  • 961-미개봉 테이프 바네사 월리암스
    961-미개봉 테이
    10,000
  • 책판이 큰 잘정서된 필사본 중용(中庸) 1책완질
    책판이 큰 잘정서된
    50,000
  • 넥타이핀 11점 일괄
    넥타이핀 11점 일
    20,000
  • 726-미개봉 테이프 헬로윈
    726-미개봉 테이
    10,000
  • 1942년(소화17년)재판 도연초상해(徒然草詳解)
    1942년(소화17
    100,000
  • 1957년(단기4290년) 제대귀향증
    1957년(단기42
    50,000
  • 박씨세보(朴氏世譜)1책완질
    박씨세보(朴氏世譜)
    150,000
  • 185-2003년초판 정구 환타지소설 신승 15책완질
    185-2003년초
    150,000
  • 청동으로된 복록수(福綠壽)명 별전,엽전
    청동으로된 복록수(
    49,000
  • 목활자본 재령(載寧)이씨 이수민(李壽敏) 농와유고(農窩遺稿)4권2책완질
    목활자본 재령(載寧
    160,000
  • 1956년 현대 고등한문 3
    1956년 현대 고
    30,000
  • 2000년 조연스님의 큰 법력
    2000년 조연스님
    10,000
  • 700-미개봉 테이프 뉴로틱 아웃사이더스
    700-미개봉 테이
    10,000
  • 조선시대 목판본 사요취선(史要聚選) 3책
    조선시대 목판본 사
    150,000
  • 1996년 한겨레21 4월18일자
    1996년 한겨레2
    15,000
  • 30-조선시대초기 백자완
    30-조선시대초기
    99,000
  • 에도시기 청동으로된 십장생문 청동경
    에도시기 청동으로된
    159,000
  • 1983년 철학에세이
    1983년 철학에세
    20,000
  • 강아지 손톱깍이
    강아지 손톱깍이
    10,000
  • 영어일일일과(英語一日一課)
    영어일일일과(英語一
    0
  • 1924년 신편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 권2
    1924년 신편고등
    300,000
  • 1913년 목판본 어정규장전운(御定奎章全韻) 1책완질
    1913년 목판본
    80,000
  • 영인본 한문본 금오신화(金鰲新話)
    영인본 한문본 금오
    20,000
  • 1966년 용가송천흠의사실기(勇加宋千欽義士實記)
    1966년 용가송천
    80,000
  • 1810년 목판본 강대수(姜大遂) 한사선생문집(寒沙先生文集) 권7 1책
    1810년 목판본
    200,000
  • 이마리 청화백자 산수문 호리형 호
    이마리 청화백자 산
    69,000
  • My Dolls House 나무인형 42번
    My Dolls H
    15,000
  • 주자년보별본(朱子年譜別本)2권1책완질 (진주刊)
    주자년보별본(朱子年
    150,000
  • 흑유청자 말찻잔
    흑유청자 말찻잔
    20,000
  • 1957년초판 김용호(金容浩)編 사랑의 抒情詩(서정시)
    1957년초판 김용
    300,000
  • 1994년초판 이만수 우리고전 전우치전
    1994년초판 이만
    10,000
  • 1949년 조기종(曺夔鍾) 여암문집(餘庵文集)권3,4終 1책
    1949년 조기종(
    100,000
  • 1954년 삼략육도(三略六韜)
    1954년 삼략육도
    30,000
  • 1990년초판 사와이 이즈미 최규남옮김 첫사랑은 유리병속에
    1990년초판 사와
    20,000
  • 옥돌 팔찌
    옥돌 팔찌
    10,000
  • 1987년 틴데일출판사 설료자료모음
    1987년 틴데일출
    20,000
  • 1938년 여산송씨원윤공파세계보 4책완질
    1938년 여산송씨
    200,000

커뮤니티 최신글

접속자집계

오늘
7,075
어제
15,455
최대
24,153
전체
10,215,030

옛날물건 재고 현황

고서적
3,523,145,000원/14,165건
근대도서
3,220,628,500원/41,363건
근대시집
378,517,500원/2,751건
희귀고서적
1,114,050,000원/2,762건
교과서
439,185,000원/5,449건
간찰
69,085,000원/1,238건
한국미술품
424,034,500원/3,608건
일본미술품
1,002,900,500원/23,724건
중국미술품
511,090,000원/9,806건
기타
1,082,894,500원/11,333건
전체합계
11,765,530,500원/116,199건
금속활자본 송시열(宋時烈) 우암선생문집(尤菴先生文集) 7책 > 고서적

금속활자본 송시열(宋時烈) 우암선생문집(尤菴先生文集) 7책 요약정보 및 구매

금속활자본 송시열(宋時烈) 우암선생문집(尤菴先生文集) 7책(조선시대)

상품코드 1232696689
제조사 또는 연대 조선시대
모델 3004616
판매가격 900,000원
포인트 9,000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최소구매수량 1 개
최대구매수량 1 개

상품의 재고가 부족하여 구매할 수 없습니다.

상품 정보

상품 기본설명

금속활자본 송시열(宋時烈) 우암선생문집(尤菴先生文集) 7책(조선시대)

상품 상세설명

금속활자본 송시열(宋時烈) 우암선생문집(尤菴先生文集) 7책 상태보통 보2상1 **송시열 (宋時烈 ; 1607~1689)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노론(老論)의 영수(領袖로서 본관은 은진(恩津)이며 자는 영보(英甫)이다. 그리고 호는 우암(尤庵) ·화양동주(華陽洞主)이며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아명은 성뢰(聖賚)였다. 아버지는 사옹원봉사 갑조(甲祚)이고, 어머니는 선산곽씨(善山郭氏)이다. 효종 즉위와 더불어 대거 정계에 진출해 산당(山黨)이라는 세력을 형성했던 송준길(宋浚吉)·이유태(李惟泰)·유계(兪棨)·김경여(金景餘)·윤선거(尹宣擧)·윤문거(尹文擧)·김익희(金益熙) 등과 함께 김장생(金長生)·김집(金集) 부자에게서 배웠다. 26세 때까지 외가인 충청도 옥천군 구룡촌에서 살다가 회덕(懷德)으로 옮겼다. 1633년(인조 11) 생원시(生員試)에 장원급제하여 최명길(崔鳴吉)의 천거로 경릉참봉(敬陵參奉)이 되었으나 곧 사직, 1635년 봉림대군(鳳林大君: 孝宗)의 사부(師傅)가 되었다. 이듬해 병자호란 때 왕을 호종(扈從)하여 남한산성으로 피란하였고, 1637년 화의가 성립되자 낙향, 1649년 효종이 보위에 오르자 장령(掌令)에 등용, 세자시강원진선(世子侍講院進善)을 거쳐 집의(執義)가 되었으나 당시 집권당인 서인(西人)의 청서파(淸西派 ; 인조반정에 간여하지 않았던 서인세력)에 속한 그는 공서파(功西派 ; 인조반정에 가담하여 공을 세운 서인세력)의 김자점(金自點)이 영의정이 되자 사직하고 다시 낙향하였다. 이듬해 김자점이 파직된 뒤 진선에 재임명되었으나 1651년(효종 2) 그가 찬술한 《장릉지문(長陵誌文)》에 청나라 연호를 쓰지 않았다고 김자점이 청나라에 밀고함으로써 청의 압력을 받아 사직하고 또 낙향, 충주목사(忠州牧師) ·집의 등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후진 양성에 전심하였다. 1658년(효종 9) 찬선에 등용, 이조판서로 승진, 효종과 함께 북벌계획을 추진하였으나 이듬해 효종이 죽자 그 계획은 중지되었다. 그 뒤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문제(服喪問題)가 제기되자 기년설(朞年說: 만 1년)을 주장하여 관철시키고 3년설을 주장하는 남인을 제거하여 정권을 장악, 좌참찬(左參贊) 등을 역임하면서 서인의 지도자로서의 자리를 굳혔다. 1660년(현종 1) 우찬성에 올랐을 때, 앞서 효종의 장지(葬地)를 잘못 옮겼다는 규탄을 받고 낙향하였고, 1668년 우의정이 되었으나 좌의정 허적(許積)과의 불화로 사직했다가 1671년 다시 우의정이 되고 이듬해 좌의정이 되었다. 1674년 인선왕후(仁宣王后)의 별세로 다시 자의대비의 복상문제가 제기되어 대공설(大功說: 9개월)을 주장하였으나 남인 쪽이 내세운 기년설이 채택됨으로써 실각, 제1차 복상문제 때 기년설을 채택하게 한 죄로 이듬해 덕원(德源)으로 유배, 그 뒤 여러 곳으로 유배장소가 옮겨졌다. 이처럼 예송은 2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차 예송(기해예송)은 효종이 죽은 뒤 그의 계모인 자의대비(慈懿大妃:趙大妃)가 효종의 상(喪)에 어떤 복을 입을 것인가를 두고 일어난 논란이었다. 조선 사회의 지배이념인 성리학에 근거한 예론(禮論)에서는 자식이 부모에 앞서 죽었을 때 그 부모는 그 자식이 적장자(嫡長子)인 경우는 3년상을, 그 이하 차자일 경우에는 1년상을 입도록 규정하였다. 인조는 첫째아들인 소현세자(昭顯世子)가 죽은 뒤 그의 아들이 있었음에도, 차자인 봉림대군(鳳林大君)을 세자로 책봉하여 왕통을 계승하게 하였다. 따라서 효종이 왕위에 오름으로써 왕통은 인조-효종으로 이어졌지만 적장자(적장자가 유고시 적장손)가 잇는 관념에서는 벗어난 일이었다. 여기에 1차 예송의 예론적 배경이 있다. 즉, 왕가라는 특수층의 의례가 종법(宗法)에 우선할 수 있는가 그렇지 않은가 하는 관점의 차이가 반영되어 있었다. 효종의 즉위와 같은 왕위계승에 나타나는 종통의 불일치를 성서탈적(聖庶奪嫡)이라고 표현하였는데, 기왕의 적통이 끊어지고 새로운 적통에 의해 왕위가 이어지게 되었음을 의미하는 말이다. 이는 왕위계승이 종법의 원리에 맞지 않는다 하더라도 이를 종법 체계 내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왕가의 의례라 할지라도 원칙인 종법으로부터 벗어나서는 안 된다는 관념의 표현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규정에 의거할 경우, 효종은 왕통상으로는 인조의 적통을 이었지만 종법상으로는 인조의 둘째아들이므로 효종의 계모인 자의대비는 당연히 종법에 따라 1년상을 입어야 할 일이다. 송시열(宋時烈)을 중심으로 한 서인 계열에서 1년상을 주장한 데 반하여 남인 계열에서는 윤휴(尹) ·허목(許穆) ·윤선도(尹善道) 등이 그러한 주장을 반박하고 나옴으로써 1차 예송이 본격화되었다. 남인측의 주장은 차자로 출생하였더라도 왕위에 오르면 장자가 될 수 있다는 허목의 차장자설에서 잘 드러난다. 이러한 논리는 천리(天理)인 종법이 왕가의 의례에서는 변칙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남인측의 주장은 “왕자예부동사서(王者禮不同士庶)”라는 말로 표현된다. 이러한 논리에 따르면 효종은 당연히 장자가 되는 것이며, 자의대비는 효종을 위하여 3년의 복을 입어야 할 것이었다. 서인과 남인의 왕실전례에 대한 이러한 입장의 차이는 단순한 예론상의 논란이 아니라, 그들이 우주만물의 원리로 인정한 종법의 적용에 대한 해석의 차이였으며, 이는 현실적으로는 권력구조와 연계된 견해 차이였으므로 민감한 반응으로 대립한 것이다. 1차 예송은 예론상으로는 종통문제를 변별하는 것이 핵심을 이루었으나, 결국 《경국대전》에 장자와 차자의 구분 없이 1년복을 입게 한 규정(국제기년복)에 의거하는 것으로 결말지어졌다. 결과적으로는 서인의 예론이 승리를 거두었으므로 서인정권은 현종 연간에 계속 유지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법질서에 있어서 효종의 위상에 대한 논란은 결론을 보지 못하였으며, 이 문제는 결국 2차 예송의 빌미가 되었다. 2차 예송(갑인예송)은 효종의 비인 인선왕후(仁宣王后)가 죽자 조대비(趙大妃:자의대비)가 어떤 상복을 입을 것인가 하는 문제를 놓고 벌어졌다. 1차 예송에서는 국제기년복(國制朞年服)이 채택됨으로써 효종의 장자 ·차자 문제가 애매하게 처리되었으나, 인선대비가 죽으면서 이 문제가 다시 표면으로 떠올랐다. 즉 효종을 장자로 인정한다면 인선대비는 장자부이므로 대왕대비는 기년복(1년)을 입어야 하지만, 효종을 차자로 볼 경우 복제는 대공복(大功服:9개월)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었다. 예조에서는 처음에 기년복으로 정하였다가, 다시 꼬리표를 붙여서 대공복으로 복제를 바꾸어 올렸다. 현종은 예조에서 대공복제를 채택한 것은 결국 효종을 차자로 보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여 잘못 적용된 예제로 판정하였다. 이후 송시열계의 서인세력이 대대적으로 정계에서 축출되면서 결국에는 남인정권이 들어서는 계기를 이루었다. 1680년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남인이 실각하게 되자 중추부영사(中樞府領事)로 기용되었다가 1683년 벼슬에서 물러나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 이 무렵 남인에 대한 과격한 처벌을 주장한 김석주(金錫胃)를 지지함으로써 많은 비난을 받았는데 그 중에서도 제자 윤증(尹拯)과의 감정대립이 악화되어 마침내 서인은 윤증 등 소장파를 중심으로 한 소론(少論)과 그를 영수로 한 노장파의 노론(老論)으로 다시 분열되었다. 그 뒤 정계에서 은퇴하고 청주 화양동에서 은거생활을 하였는데 1689년 왕세자가 책봉되자 이를 시기상조라 하여 반대하는 상소를 했다가 제주에 안치되고 이어 국문(鞠問)을 받기 위해 서울로 오는 도중 정읍(井邑)에서 사사(賜死)되었다. 1694년 갑술옥사(甲戌獄事) 뒤에 신원(伸寃)되었다. 주자학(朱子學)의 대가로서 이이(李珥)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류를 이루었으며 이황(李滉)의 이원론적(二元論的)인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배격하고 이이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지지, 사단칠정(四端七情)이 모두 이(理)라 하여 일원론적(一元論的) 사상을 발전시켰으며 예론(禮論)에도 밝았다. 즉, 송시열은 젊은 시절 이이의 학통을 계승한 김장생과 그의 아들 김집의 문하에서 성리학과 예학을 수학했는데 그의 학문은 바로 이러한 기호학파의 학맥을 근간으로 형성되었다. 이기론(理氣論)에서 그는 이황의 이원론적인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배격하고 이이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지지, 사단칠정(四端七情)이 모두 이(理)라 하는 일원론적 사상을 발전시켰다. 또한 정통 성리학자로서 그는 주자의 학설을 전적으로 신봉하고 실천하는 것으로 평생의 업을 삼았다. 〈주자대전 朱子大全〉·〈주자어류 朱子語類〉의 연구에 몰두하여 〈주자대전차의 朱子大全箚疑〉·〈주자어류소분 朱子語類小分〉 등의 저술을 남긴 것은 이같은 그의 학문세계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그의 이러한 학풍은 기본적으로 양란 후의 사회적·정치적 동요를 수습해서 양반지배체제를 재건하고 나아가서는 조선과 명(明)의 '원수'인 청을 물리치고 중화적 세계질서를 회복하고자 한 현실인식의 반영이었다. 곧 주자학의 명분론인 삼강오륜을 사회운영의 원리로 파악하여, 청에 대한 복수의 근거를 명에 대한 강상(綱常)·군신(君臣)의 관계에서 찾았다. 이같은 북벌론은 당연히 조선왕조의 부국강병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었고, 이를 위해 정치적·사회적인 측면에서 송시열이 강조했던 것은 '세도정치론'(世道政治論)이었다. 이는 강상윤리를 기초로 하는 사회기강의 확립과 주자학적인 의리(義理)·도학(道學)의 실현에 목표를 두는 것이었으며, 또 이의 실현주체로서 성학(聖學)의 수양을 쌓은 성인(聖人)으로서의 군주를 상정하는 것이었지만 그러한 군주가 없을 경우에는 현인(賢人) 재상(宰相)이 전권을 행사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결국 현실적으로는 세도정치의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군자당(君子黨)은 노론뿐이라는 당파적 이해를 대변하는 것이었다. 그러한 면에서 그는 주자의 교의에서 벗어나 본래의 공맹(孔孟)에서 유학을 재정립하고 군주 중심의 정치운영방식을 추구하고자 했던 허목(許穆)이나 윤휴 등 남인의 학자들과 커다란 차이를 드러냈던 것이다. 복상을 둘러싼 2차례의 예송에 깊이 간여하면서 남인과 대립했던 이면에는 이와 같은 입장의 차이가 있었다. 기사환국으로 노론이 실각하면서 송시열의 이같은 정치운영론은 일단 실패했으나, 18세기 후반 이후 노론의 일당전제정치 확립 이후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체계로서 정치와 학문 양 측면에서 거의 독점적인 지위를 구축했다.한편, 송시열은 보수적인 서인, 특히 노론의 입장을 대변하여 명에 대한 존주대의와 병자호란에 대한 복수설치가 국가정책의 기조가 되어야 함을 역설했다. 그것은 춘추대의(春秋大義)에 입각한 유교적 명분론의 표현임과 동시에 양란 이후 국가재조(國家再造)의 과정에서 요구되는 국가기강의 확립과 민생의 안정을 위한 강력한 통치이념의 필요에서 나온 것이기도 했다. 국가재조의 방향에 있어서 그는 봉건국가의 틀을 유지·강화하는 가운데 그 운영을 개선하여 양란 이후의 사회적 모순에 대처해나가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송시열은 이 시기 정전론(井田論)·기전론(箕田論)으로 집약되던 토지개혁론에 대해 반대했다. 곧 그는 주자의 정전제난행설(井田制難行說)에 따라 정전제는 토지가 적고 인구가 많은 시기에는 실현할 수 없으며 병란을 거치고 인구가 감소한 뒤가 아니면 시행할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그가 양란 후의 사회경제 재건을 위해 내놓은 대책은 부세제도(賦稅制度)와 재정제도를 부분적으로 개선하는 방향이었다. 즉 부세제도의 개선을 통해서 문란해진 농민수취 질서를 재정비하여 농민부담을 경감시키는 한편 국가재정을 강화한다는 것이 그 주요내용이었다. 내수사(內需司) 혁파, 궁방전(宮房田) 억제, 군영(軍營) 감축, 호적법·호패법·향약·사창법·노비종모법(奴婢從母法)·대동법·호포법 등의 재정비·실시 등 송시열이 제기한 구체적 방책들은 농민의 각종 세의 부담을 줄이는 대신, 세를 부담하는 양민층을 확대하고 국가의 재용(財用)을 절감함으로써 국가재정을 튼튼히 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사회경제제도의 근본적 개혁을 통해 민산(民産)을 안정·발전시키는 것이 강력하게 요구되는 시점에서 송시열의 부분적인 제도개선책으로서는 점차 높아가는 사회불안과 체제동요를 막을 수 없었다. 송시열이 강상윤리를 강조하고 이를 통해서 국가·사회 기강을 철저히 확립하고자 했던 것은 이를 염두에 둔 것이기도 했다. 성격이 과격하여 정적(政敵)을 많이 가졌으나 그의 문하에서 많은 인재가 배출되었으며 글씨에도 일가를 이루었다. 문묘(文廟) ·효종묘(孝宗廟)를 비롯하여 청주의 화양서원(華陽書院), 여주의 대로사(大老祠), 수원의 매곡서원(梅谷書院) 등 전국 각지의 많은 서원에 배향되었다. 저서에 《송자대전(宋子大全)》 《우암집(尤庵集)》 《송서습유(宋書拾遺)》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 《정서분류(程書分類)》 《주자어류소분(朱子語類小分)》 《논맹문의통고(論孟問義通攷)》 《심경석의(心經釋義)》 《사계선생행장(沙溪先生行狀)》 등이 있다.





상품 정보 고시

품명 상품페이지 참고
모델명 상품페이지 참고
법에 의한 인증·허가 등을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 그에 대한 사항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국 또는 원산지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자 상품페이지 참고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또는 소비자상담 관련 전화번호 상품페이지 참고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배송정보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교환/반품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

회사명 옛날물건 주소 경남 밀양시 중앙로 80-6 (가곡동)
사업자 등록번호 615-03-17906 대표 김동영 전화 010-3845-4358 팩스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03-14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김동영
Copyright © 2001-2013 옛날물건. All Rights Reserved.

전화문의

010-3845-4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