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재잠집설(敬齋箴集說) 1책완질 > 고서적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전화문의

010-3845-4358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경재잠집설(敬齋箴集說) 1책완질
    경재잠집설(敬齋箴集
    350,000
  • 목활자본 조정룡(曺挺龍) 초당선생문집(草堂先生文集)4권2책완질
    목활자본 조정룡(曺
    400,000
  • 소년중앙,어깨동무 합5책일괄
    소년중앙,어깨동무
    0
  • 석판본 사례제요(四禮提要) 1책완질
    석판본 사례제요(四
    40,000
  • 석판본간행 상주주씨세보3책완질 세덕편1책완질
    석판본간행 상주주씨
    0
  • 100년이상된 고이마리 청화백자추상화문 개완
    100년이상된 고이
    39,000
  • 필사원고본 양희지(楊凞止) 대봉선생문집(大峯先生文集)속집 1책
    필사원고본 양희지(
    200,000
  • 조선시대 수진목판본 시전(詩傳) 권1~7  1책
    조선시대 수진목판본
    50,000
  • 1923년초판 홍난파(洪蘭坡) 향일초(向日草)
    1923년초판 홍난
    1,800,000
  • 1941년(소화16년) 진주제일공립휘상소학교 졸업기념사진첩
    1941년(소화16
    400,000
  • 구암집(久庵集) 4권2책완질
    구암집(久庵集) 4
    600,000
  • 1994년 고심덕 만화 마트르스 2
    1994년 고심덕
    15,000
  • 국민증2장,병무소집해제증,구매권,통행권
    국민증2장,병무소집
    0
  • 분청사기 귀얄문 잔 2점
    분청사기 귀얄문 잔
    10,000

커뮤니티 최신글

접속자집계

오늘
4,472
어제
11,130
최대
14,115
전체
9,094,738

옛날물건 재고 현황

고서적
3,491,925,000원/14,144건
근대도서
3,228,126,000원/41,599건
근대시집
378,472,500원/2,756건
희귀고서적
1,111,600,000원/2,754건
교과서
440,845,000원/5,478건
간찰
67,845,000원/1,217건
한국미술품
425,908,500원/3,627건
일본미술품
1,006,869,500원/23,804건
중국미술품
512,320,000원/9,827건
기타
1,081,682,500원/11,406건
전체합계
11,745,594,000원/116,612건
경재잠집설(敬齋箴集說) 1책완질 > 고서적
리뷰 0 위시 0

경재잠집설(敬齋箴集說) 1책완질 요약정보 및 구매

경재잠집설(敬齋箴集說) 1책완질(1750년(庚午)영조26년)

상품코드 1128843756
제조사 또는 연대 1750년(庚午)영조26년
모델 3000668
판매가격 350,000원
포인트 3,500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최소구매수량 1 개
최대구매수량 1 개

상품의 재고가 부족하여 구매할 수 없습니다.

상품 정보

상품 기본설명

경재잠집설(敬齋箴集說) 1책완질(1750년(庚午)영조26년)

상품 상세설명

1750년(庚午)영조26년 간행된 경재잠집설(敬齋箴集說) 1책완질 상태좋으며 파장없음 크기:34.2*22센치 보18-4-2 **1750년(영조 26)에 간행. 주자(朱子)의 《경재잠》을 바탕으로 정자(程子)·주자 이하 많은 중국 학자들의 경(敬)에 대한 설을 열거하고, 이어 이황(李滉)의 견해를 첨가한 다음, 10장으로 나누고 그것과 관련된 여러 학자의 학설을 한 칸씩 내려 대자(大字)로 쓰고, 그 아래에 소자(小字) 두 줄로 다시 해석하였다. 간간이 저자의 견해를 한 글자 내려 기술하였다. 책머리에는 중국 송(宋)나라 왕노재(王魯齋)의 《경재잠도(敬齋箴圖)》를 실었다. **1750년(英祖 26) 12월에 大山 李象靖이 朱子의 ≪敬齋箴≫과 이 ≪敬齋箴≫에 관한 諸儒들의 說을 採集하고 또 經傳과 先儒들의 說에서 敬說을 모아 엮은 책이다. 原來 ≪敬齋箴≫은 朱子가 張敬夫의 ≪主一箴≫을 보고 만든 것인데 그 후 金華의 王柏이 同 ≪敬齋箴≫을 圖式化하였으며 또 退溪 李滉이 ≪聖學十圖≫ 중에서 同 ≪敬齋箴圖 ≫를 그리고 해설을 붙였다. 그런데 이 ≪敬齋箴集說≫은 上記의 諸圖와 說을 모으고 거기에 程子 周子 張敬夫 朱子 眞西山 退溪 등 先儒들의 敬에 對한 諸說을 모으고 또 經傳에서 敬에 대한 說을 합하여 篇을 만들고 ≪敬齋箴集說≫이라고 이름한 것이다. 李象靖(1710∼1781)은 朝鮮朝의 學者로 字는 丁景文, 號는 大山이다. 李栽의 門人으로 1735년(英祖 11)에 司馬試를 거쳐 增廣文科에 丙科로 급제, 持平 兵曹參知 禮曹參議를 거쳐 刑曹參議에 올라 사직했다. 일찍부터 學問에 뜻을 두어 安東 大夕山 기슭에 大山 書堂을 짓고 李滉의 學統을 계승하여 性理學을 연구하는 한편 후진을 양성했으며 本書 외에 ≪退溪書節要≫ ≪解理氣彙編≫등 많은 저서가 있다. 卷頭에 자신의 「敬齋箴集 說序」와 金華 王栢의 「敬齋箴圖」를 싣고 본문으로서 朱子의 ≪敬齋箴≫ 全文을 10 章으로 나누어 各章에 그 章旨와 同一한 先儒들의 諸說을 모아 그 章을 해설하고 卷末 에는 다시 敬과 誠에 대하여 先儒의 諸說과 經傳의 說을 集成하였다. 이 ≪敬齋箴集說 ≫ 全文 10章의 內容을 살펴보면 第1章에서는 사람이 움직이지 않고 靜할 때에 心이 理致에 조금도 어그러짐이 없이 할 것을 말하고, 第2章에서는 사람이 움직일 때 또한 이치에 어그러짐이 없이 할 것을 말하고 거기에 動과 靜을 겸하여 論하였다. 第3章에 서는 사람이 外的인 형체를 단정히 할 것을 말하고, 第4章에서는 사람이 內的인 心意 를 바르게 할 것을 말하고 거기에 덧붙여 動과 靜과 表와 裏를 다시 論하였다. 第5章 에서는 心이란 어디를 가나 모든 일에 통달함을 말하고 第6章에서는 事의 主一하는 것 이 心에 本하였음을 말하고, 第7章에서는 앞의 8章을 다시 總論하여 動과 諍에 어그러 짐이 없고, 表와 裏가 서로 바른 것이 이 一篇의 綱領이 된다고 하고, 第8章에서는 心 에는 능히 無適할 수 없는 병통이 있음을 말하고, 9章에서는 일에는 능히 主一할 수 없는 병통이 있음을 말하고, 第10章에서는 一篇을 總結하였다. 우리나라와 중국 先儒 들의 敬에 관한 諸說을 集成하여 사람이 心·身을 修養하여 나아가는데 敬으로 할 것 을 말한 것이어서 현재에 있어서도 敬을 연구하거나 性理學을 탐구하는데 있어서 좋은 자료가 된다 하겠다.





상품 정보 고시

품명 상품페이지 참고
모델명 상품페이지 참고
법에 의한 인증·허가 등을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 그에 대한 사항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국 또는 원산지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자 상품페이지 참고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또는 소비자상담 관련 전화번호 상품페이지 참고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배송정보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교환/반품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

회사명 옛날물건 주소 경남 밀양시 중앙로 80-6 (가곡동)
사업자 등록번호 615-03-17906 대표 김동영 전화 010-3845-4358 팩스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03-14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김동영
Copyright © 2001-2013 옛날물건. All Rights Reserved.

전화문의

010-3845-4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