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2년 목판본 이진택(李鎭宅) 덕봉선생문집(德峰先生文集)권1~4 2책 > 고서적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전화문의

010-3845-4358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1902년 목판본 이진택(李鎭宅) 덕봉선생문집(德峰先生文集)권1~4 2책
    1902년 목판본
    100,000
  • 1996년 뉴스메이커 3월14일자
    1996년 뉴스메이
    20,000
  • 2010년 중국고미술도록 (목기,가구,공예품)
    2010년 중국고미
    20,000
  • 1965년 육군본부 육군 83호
    1965년 육군본부
    50,000
  • 천연진주 순은 넥타이핀 (9그람)
    천연진주 순은 넥타
    29,000
  • 1955년 박경원(朴敬源) 경남의 고적과 그문화
    1955년 박경원(
    80,000
  • 1970년대 재미있는 치과이야기 럭키치약
    1970년대 재미있
    100,000
  • 1873년 황덕길(黃德吉)편 동현학칙(東賢學則)권1~3 1책
    1873년 황덕길(
    100,000
  • 석판본 남재만묵(南齋漫墨) 1책완질
    석판본 남재만묵(南
    50,000
  • 1964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장년주일공과
    1964년 대한예수
    80,000
  • 1991년 주간조선 12월29일
    1991년 주간조선
    20,000
  • 38-근대사 금채화문 유리잔 5점
    38-근대사 금채화
    29,000
  • 펜탁 카메라
    펜탁 카메라
    15,000
  • 1991년 소년만화 아이큐점프 20호
    1991년 소년만화
    20,000
  • 1965년 농촌지도 10월호
    1965년 농촌지도
    100,000
  • 1954년 홍웅선(洪雄善) 세계문학개요
    1954년 홍웅선(
    150,000
  • 서화문 연적
    서화문 연적
    300,000
  • 1971년 사회 3-2
    1971년 사회 3
    80,000
  • 1959년 국어국문학(國語國文學) 20
    1959년 국어국문
    100,000
  • 1965년 의방류취(醫方類聚) 2권
    1965년 의방류취
    50,000
  • 1981년 새농민 부록 어린이판 10월호
    1981년 새농민
    80,000
  • 1972년 김의환(金義煥) 인간이순신전(人間李舜臣傳) 저자싸인본
    1972년 김의환(
    80,000
  • 연대가좋은 백자 노송산수문 완
    연대가좋은 백자 노
    15,000
  • 2010년초판 문종술 성공습관
    2010년초판 문종
    10,000
  • 근대사 청자 감문 화형완 2점
    근대사 청자 감문
    20,000
  • 계은당실기(桂隱堂實記)1책완질
    계은당실기(桂隱堂實
    20,000
  • 목판본 이덕형(李德馨) 한음선생문고(漢陰先生文稿)권7,8  1책
    목판본 이덕형(李德
    80,000
  • 소형크기의 나무로된 사각화대
    소형크기의 나무로된
    10,000
  • 목판본 대학 1책완질
    목판본 대학 1책완
    50,000
  • 1985년초판 거친 들판에 씨앗을 1집
    1985년초판 거친
    20,000
  • 1962년 한국야담전집(韓國野談全集) 15책완질
    1962년 한국야담
    1,200,000
  • 2004년6월3일 주간조선
    2004년6월3일
    20,000
  • 1861년(함풍신유년) 목판본간행 초천자문(千字文) 1책완질
    1861년(함풍신유
    200,000
  • 2013년 제1회 대구고미술대전 팜플렛
    2013년 제1회
    10,000
  • 809-미개봉 테이프 런던 보이
    809-미개봉 테이
    10,000
  • 1998년1월15일 주간조선
    1998년1월15일
    20,000
  • 분청자 말찻잔
    분청자 말찻잔
    159,000
  • 석판본 이당창수록(怡堂唱酬錄) 하편 1책
    석판본 이당창수록(
    30,000
  • 1967년 대곡국민학교 제37회졸업기념 앨범
    1967년 대곡국민
    60,000
  • 청자 철화주자
    청자 철화주자
    39,000
  • 1960년 자유의 벗 제11호
    1960년 자유의
    100,000
  • 1959년 동국대학교 불렛튼
    1959년 동국대학
    100,000
  • 1953년 역사학보(歷史學報) 제5집
    1953년 역사학보
    100,000
  • 1954년 이상백(李相伯) 이조건국의 연구
    1954년 이상백(
    100,000
  • 1983년 경주최씨화숙공파 종계요람
    1983년 경주최씨
    30,000
  • 1969년 자유의 벗 5월호
    1969년 자유의
    100,000
  • 1986년 부산경남향교기문(釜山慶南鄕校記文)
    1986년 부산경남
    30,000
  • 1974년 국회의원 정우식 싸인본 농촌진흥청 약초재배
    1974년 국회의원
    50,000
  • 1977년 자유평론사 멍에속의 여상
    1977년 자유평론
    50,000
  • 1992년 한국천주교 최초의 참수 치명순교자 윤지충,권상연과 전동성당
    1992년 한국천주
    20,000
  • 1992년 한국발전(韓國發展) 창간호
    1992년 한국발전
    50,000
  • 1954년 양주동(梁柱東) 고가연구(古歌硏究)
    1954년 양주동(
    150,000
  • 1984년 경남사학(慶南史學) 창간호
    1984년 경남사학
    80,000
  • 1955년 서울대학교 정치학보(政治學報) 창간호
    1955년 서울대학
    100,000
  • 1954년 3판 이선근(李瑄根) 화랑도연구(花郞道硏究)
    1954년 3판 이
    200,000
  • 1974년 월간 시조 2월호
    1974년 월간 시
    50,000
  • 1985년 한국화술교육회 화술(話術) 3,4월호
    1985년 한국화술
    40,000
  • 1958년 김덕환(金悳煥) 문체학(文體學) 문장개설(文章槪說) 1책완질
    1958년 김덕환(
    100,000
  • 1986년초판 시창작교실 1집 창간호
    1986년초판 시창
    50,000
  • 1957년초판 홍콩간행 쾌악국(快樂國)
    1957년초판 홍콩
    80,000
  • 1955년 독립운동가 선우훈(鮮于燻) 민족의수난
    1955년 독립운동
    150,000
  • 근대 마라나다소식 용의소리 제1부
    근대 마라나다소식
    20,000
  • 1977년 문학사상 창간오주년기념특집호
    1977년 문학사상
    50,000
  • 1980년대 이희우 각본 열풍(熱風)
    1980년대 이희우
    50,000
  • 1955년 호반(湖畔)
    1955년 호반(湖
    60,000
  • 1990년 주간만화 20호
    1990년 주간만화
    80,000
  • 1960년 현상윤(玄相允) 조선유학사(朝鮮儒學史)
    1960년 현상윤(
    100,000
  • 1972년 월간 다리 복간호
    1972년 월간 다
    50,000
  • 1989년 계간 진해(鎭海) 창간호
    1989년 계간 진
    50,000
  • 1956년초판 박동현(朴同玄) 꿈과 사(꿈과 死) 사인의 꿈(死人의 꿈)
    1956년초판 박동
    200,000
  • 1964년 세창서관 정본주역 1책완질
    1964년 세창서관
    20,000
  • 1995년 민족학연구(民族學硏究) 제1집 창간호
    1995년 민족학연
    50,000
  • 1959년 중학생의 수학 자습서 3
    1959년 중학생의
    60,000
  • 1991년 현대비평과 이론 창간호
    1991년 현대비평
    50,000
  • 수진목판본 삼운통고(三韻通考) 1책완질
    수진목판본 삼운통고
    50,000
  • 1980년 여원별책부록 가전제품 안내
    1980년 여원별책
    100,000
  • 1990년 야마다지로오 30세까지 샐러리맨이 해두어야 할일
    1990년 야마다지
    15,000
  • 청옥돌 원석
    청옥돌 원석
    11,000
  • 1992년초판 김숙자시집 모시울에 부는 바람
    1992년초판 김숙
    15,000
  • 옥낭자(玉娘子)1책완질
    옥낭자(玉娘子)1책
    0
  • 1982년 계명대학교 노천문학회 노천문학 창간호
    1982년 계명대학
    50,000
  • 1975년 한국무역(韓國貿易) 창간호
    1975년 한국무역
    80,000
  • 2004년초판 혼다 켄 행복한 부자를 위한 돈의 IQ EQ
    2004년초판 혼다
    15,000
  • 100년이상된 청화백자산수화문 5인다관셋트
    100년이상된 청화
    259,000
  • 1967년 복음의 소리 3호
    1967년 복음의
    50,000
  • 1950년대 광주,목포 도장이 찍힌 한국무용가 내용수록 Free World
    1950년대 광주,
    100,000
  • 1985년초판 신영길(辛永吉) 한양오백년가사(漢陽五百年歌史)
    1985년초판 신영
    60,000
  • 목활자본 오치두(吳致斗)발문이 있는 해주오씨세보(海州吳氏世譜)마지막책
    목활자본 오치두(吳
    100,000
  • 1957년 새물상
    1957년 새물상
    50,000
  • 1954년 서울백호서점 영문판 윌리엄 텔
    1954년 서울백호
    80,000
  • 1982년 인류평화연구원 우의(友誼) 제1호 창간호
    1982년 인류평화
    50,000

커뮤니티 최신글

접속자집계

오늘
1,337
어제
10,630
최대
24,153
전체
9,656,305

옛날물건 재고 현황

고서적
3,529,955,000원/14,172건
근대도서
3,223,053,500원/41,465건
근대시집
378,087,500원/2,750건
희귀고서적
1,108,600,000원/2,750건
교과서
439,885,000원/5,453건
간찰
67,845,000원/1,217건
한국미술품
424,271,500원/3,613건
일본미술품
1,004,531,500원/23,756건
중국미술품
512,049,000원/9,818건
기타
1,075,364,500원/11,353건
전체합계
11,763,642,500원/116,347건
1902년 목판본 이진택(李鎭宅) 덕봉선생문집(德峰先生文集)권1~4 2책 > 고서적
리뷰 0 위시 0

1902년 목판본 이진택(李鎭宅) 덕봉선생문집(德峰先生文集)권1~4 2책 요약정보 및 구매

1902년 목판본 이진택(李鎭宅) 덕봉선생문집(德峰先生文集)권1~4 2책(1902년)

상품코드 1230946614
제조사 또는 연대 1902년
모델 3004431
판매가격 100,000원
포인트 1,000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최소구매수량 1 개
최대구매수량 1 개

상품의 재고가 부족하여 구매할 수 없습니다.

상품 정보

상품 기본설명

1902년 목판본 이진택(李鎭宅) 덕봉선생문집(德峰先生文集)권1~4 2책(1902년)

상품 상세설명

1902년 목판본 이진택(李鎭宅) 덕봉선생문집(德峰先生文集)권1~4 2책 상태보통 크기:32.8*21.8센치 완질은 6권3책임 보18-4-3 **이진택(李鎭宅) 1738(영조 14)∼1805(순조 5).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양중(養重), 호는 덕봉(德峯). 경주출신. 아버지는 운배(雲培)이며, 어머니는 영양남씨(英陽南氏)로 국망(國望)의 딸이다. 이진원(李晉遠)의 문하에 나아가 수학하였다. 8세 때 닭싸움을 보고 “상앙의 법률로 논죄할 것 같으면, 이 닭은 당장 삶아 먹을 것을(若論商#앙19法 此계當烹食)……”이라는 글을 지어 선생을 놀라게 하였다. 1780년(정조 4)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부정자를 거쳐 성균전적·예조정랑·사헌부감찰·병조좌랑·사헌부지평·장령 등을 역임하였다. 그는 김상로(金尙魯)·홍계희(洪啓禧)가 사도세자 사건에 책임이 있다는 이유로 그의 부관참시(剖棺斬屍)를 주장한 사람이다. 또, 1793년 그가 대간으로 있을 때 사노비혁파(寺奴婢革罷)를 주장한 상소를 올려 사노혁파에 결정적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이러한 개혁론의 여파로 1801년(순조 1)에는 공노비해방을 보게 되었다. 한때, 정조의 신임을 크게 받았으나 관운이 좋지 않았다. 1802년 서유방(徐有防) 등을 옹호하였다는 이유로 삼수로 귀양갔다가 2년 뒤에 풀려났고, 그 다음해에 죽었다. 저서로는 《덕봉문집》이 있다 **李鎭宅(1738∼1805)의 詩文集으로 1902년 後孫 圭一이 간행했다. 李鎭宅의 字는 養 重, 號는 德峯. 本貫은 慶州, 雲培의 아들이다. 1780년(正祖 4) 文科에 及第, 承文院 副正字를 거쳐 成均典籍, 齋陵令, 禮曹正郞, 司憲府監察, 兵曹佐郞, 司憲府指平, 掌令 을 역임하였으나 官運이 좋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臺官으로 있으면서 三政 承에게 抗章하는가 하면 寺奴婢革罷에 대한 上疏를 올려 正祖가 그 疏를 大臣에게 命 하여 각 道臣에게 謄寫해 보내는 榮光을 차지하기도 하었다. 권두에는 1902년에 眞城 李晩燾가 쓴 序文이 있다. {권1}에는 詩 101수가 있다. 이 詩의 酬唱者의 이름을 보 면 그가 사귄 人士들을 아는 데 도움이 된다. {2}에는 疏 3수(辭臺職兼陳寺奴革罷疏, 義理疏, 再疏), 啓 6수(輪對入侍啓附禮曹啓附禮曹判書李在簡, 謝掌令新啓, 賓廳請討逆 啓, 姜鳳瑞施以刊削啓, 論朴長卨誣陷徐有防啓, 應旨進農務冊子五條). 「辭臺職兼陳寺 奴革罷疏」는 1793년 그가 司憲府掌令으로 있을 때 올린 上疏로 寺奴革罷에 결정적 契 機를 만든 것이다. 18세기중엽에는 이미 掌隷院奴婢立案이 地方官立案으로 바뀌었는데 推刷官을 革罷한 뒤로 弊害가 더욱 커져서 그가 강력한 改革疏를 올리게 되었고 正祖 는 이를 道臣에게 謄寫頒布하여 參考施行케 하였다. 이로부터 7년 후인 1801년(純祖 1 )에는 이러한 改革論의 餘派로 公奴婢解放을 보게 된다. 그러므로 이 資料는 公奴婢解 放에 關한 硏究의 좋은 資料가 되리라 밑는다. 「義理疏」는 1793년, 1795년 兩次에 걸쳐 올린 上疏로 英祖가 1764년(英祖 40) 成均館 明倫堂에 들러 儒生들을 앞에 놓고 思悼世子事件에 儒生들이 아무 말도 안한 데 대하여 \"五月之變 是何等極變 而爾等其時 有一人出一聲者乎 朝家之養爾等 欲用之於國家有事之時也 爾等何用爲乎\"라고 叱責하자 答辨치 못하였으나 正祖代에 그는 思悼世子事件關聯者들이나 正祖危害事件關聯者들을 嚴罰할 것을 주장한 내용이다. 「應旨進農務冊子五條」는 1799년에 勸農策을 묻는 綸 音에 答한 應旨疏로 五條는 \"一曰 財成輔相, 二曰 不違農時, 三曰 薄稅斂, 四曰 田野 闢, 五曰 重農民\" 등이다. 卷{3}에는 書 48수(與李大憲公宅鼎揆등). 書는 대부분 안부 편지이다. {4}에는 雜著로 論 1수(命龍於末論:殿試) 四六 1수(仁者樂山智者樂水), 記 夢 1수(記夢詩), 賦 1수(庶民惟星賦), 金剛山遊錄, 日錄, 北征日記, 拾遺, 識 2수(貞 武公崔先生實紀後識, 先祖益齋先生墓山識), 祝文 1수(家宅移建開基祝), 祭文 7수(祭南 厓李先生文, 祭樊岩蔡文肅公濟恭文 등), 碑文 1수(先祖益齋先生遺墟碑文), 行狀 1수( 求忠堂李公行狀), 傳 1수(彰信校尉李公傳), 上樑文 1수(蘇奇居第新建上樑文). 書와 雜 書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는 申大顯, 李鼎德, 洪良浩, 李仁行, 權??, 金翰東, 崔獻重 , 丁若鏞, 李秉模, 蔡弘遠, 蔡濟恭 등 當代의 有名한 人士들과 交遊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金剛山遊錄」은 1774년 그가 科擧事로 서울에 왔다가 그해 7월에 金剛山을 遊覽한 記行文이요 日錄은 1764년부터 1800년까지의 官職生活에서 겪은 일들을 단편적 으로 적어 놓은 日記類이다. {5}는 附錄으로 輓詞와 祭文 28수가 수록되어 있다. {6} 도 역시 附錄으로 그의 遺事(曾孫 祐榮書), 行狀(全義 李種祀 撰), 墓碣銘(驪江 李鼎 秉撰), 墓誌銘(領中樞府事 李裕元 撰), 墓誌銘(慶尙北道觀察使李裕寅撰), 上言(言頭 趙命基, 製言 權玉淵), 內部回啓(李乾夏), 上言(請加贈賜謚, 言頭 鄭會圭, 製言 權玉 淵), 焚黃告由文(校理 權玉淵撰), 墓表陰記(贈秘書丞後)과 奎章閣原任直閣 達城 徐相 祖의 識, 玄孫 圭一의 遺事後小識, 前義禁府都事 聞韶 金道和의 跋文(1902)이 수록되 어 있다. 이상 附錄의 記錄들은 그의 生涯와 業績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卷末에 는 1792년 5月에 만든 「疏會錄」이 添付되어 있다. 이 「疏會錄」은 그가 義理疏를 올렸을 때 柳규, 李世胤. 李憲儒, 權訪, 李基禎, 朴翰東 등과 聯名으로 三溪院에 通文 을 발하여 42명의 贊同者를 얻었으므로 日錄中에 기록되어 있는 이들의 名單을 卷末에 실어 놓은 것이다. 이와 같이 本集은 18세기 후반기에 臺官으로서 맹렬히 活動한 親正 祖派의 文集으로서 이 時代를 연구하는데 한 도움이 될 만한 책이라고 생각된다. 특히 「辭臺職兼陳寺奴革罷疏」는 公奴婢解放을 이해하는데 注目되는 資料이다




상품 정보 고시

품명 상품페이지 참고
모델명 상품페이지 참고
법에 의한 인증·허가 등을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 그에 대한 사항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국 또는 원산지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자 상품페이지 참고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또는 소비자상담 관련 전화번호 상품페이지 참고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배송정보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교환/반품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

회사명 옛날물건 주소 경남 밀양시 중앙로 80-6 (가곡동)
사업자 등록번호 615-03-17906 대표 김동영 전화 010-3845-4358 팩스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03-14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김동영
Copyright © 2001-2013 옛날물건. All Rights Reserved.

전화문의

010-3845-4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