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9년 석판본 천만리(千萬里) 사암실기(思庵實記) 3권2책완질 > 고서적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전화문의

010-3845-4358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1959년 석판본 천만리(千萬里) 사암실기(思庵實記) 3권2책완질
    1959년 석판본
    200,000
  • 1955년3월16일자 중앙일보
    1955년3월16일
    20,000
  • 1967년 아세아학보(亞細亞學報) 제4집
    1967년 아세아학
    20,000
  • 근대사 미국산 특이한 모양의 전구 2점
    근대사 미국산 특이
    39,000
  • 1911년 민국원년 사서집주(四書集註) 6책완질
    1911년 민국원년
    180,000
  • 1889년(광서15년) 교지
    1889년(광서15
    100,000
  • 조선~일제시기 학자,독립운동가 간찰첩(묘갈명,명문등)
    조선~일제시기 학자
    1,500,000
  • 1926년(대정15년) 연활자본 공부자성적도속수오륜행실 1책완질
    1926년(대정15
    100,000
  • 1956년6월27일자 조선일보
    1956년6월27일
    20,000

커뮤니티 최신글

접속자집계

오늘
10,303
어제
11,791
최대
13,072
전체
8,325,782

옛날물건 재고 현황

고서적
3,523,615,000원/14,221건
근대도서
3,203,998,500원/40,135건
근대시집
378,257,500원/2,683건
희귀고서적
1,123,620,000원/2,773건
교과서
444,345,000원/5,513건
간찰
67,945,000원/1,218건
한국미술품
429,015,500원/3,641건
일본미술품
1,009,144,500원/23,871건
중국미술품
512,989,000원/9,842건
기타
1,083,535,500원/11,451건
전체합계
11,776,465,500원/115,348건
1959년 석판본 천만리(千萬里) 사암실기(思庵實記) 3권2책완질 > 고서적
리뷰 0 위시 0

1959년 석판본 천만리(千萬里) 사암실기(思庵實記) 3권2책완질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상품코드 1729819823
제조사 또는 연대 1959년
원산지 한국
판매가격 200,000원
포인트 2,000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선택된 옵션

  • 1959년 석판본 천만리(千萬里) 사암실기(思庵實記) 3권2책완질
    +0원
위시리스트

상품 정보

상품 상세설명

상태좋음

크기:21*29.8센치

보외1층앵글45상5

**천만리()[1543~?]는 명나라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때 이여송()[1549~1598] 휘하의 조선 원병으로 참여하여 평양·곽산·동래·울산 등에서 전공을 세웠다. 전후 명군이 귀국할 때 따르지 않고 조선에 정착하였다. 충청남도 보령시 주교면 송학리에 집성촌이 있다.

본관은 중국 영양(), 자는 원지(), 호는 사암()이다. 아버지는 천종악(), 어머니는 병부시랑() 전탁()의 딸이다.

천만리는 중국 명나라 사람으로, 중국에서 1571년 무과 급제 후 1575년에 총절사(使)가 되어 몽골군을 격퇴하였다. 그 공으로 내직인 내위진무사(使)가 되었으나, 남의 참소()를 입어 양릉()에 귀양살이를 하였다.
귀양에서 풀려나 태청전수위사(殿使)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조선이 명나라에 원병을 요청하였는데, 이때 조병영량사(調使)로서 아들 천상()과 함께 이여송()을 따라 조선에 왔다. 평양전투를 비롯하여 곽산·동래 등지에서 전공을 세웠으며, 정유재란 때 마귀()와 함께 울산에서 전공을 세웠다.
왜란이 끝나자 1600년(선조 33) 8월 만세덕()·이승훈()은 귀국하였으나 천만리는 따라가지 않고 조선에 머물러 살았다. 선조()[재위: 1567~1608]는 천만리의 전공을 생각하여 화산군()에 봉하고, 전() 30결()을 급복()하였다. 천만리의 아들 천상도 뒤에 ‘한성윤’으로 승진시켰다. 또한, 숙종()[재위: 1674~1720] 때에는 대보단()에 종향()하도록 하였고, 순조()[재위: 1800~1834] 대에는 1827년(순조 27) 부제독() 이여매()의 고사()를 끌어다가 신주()를 옮기지 않도록 하는 은전을 내렸다. 고종()[1863~1907] 대에 천만리의 공을 다시 기렸는데, 『승정원일기()』 1901년(고종 38) 기사에 천만리에게 시호를 내려 달라는 중추원 의관 이봉래() 등의 상소가 있었다. 9년이 지난 1910년(순종 4)에 충장()의 시호가 내려졌다.
천만리의 후손들은 대전광역시 유성구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충청남도 보령시 주교면 송학리에 집성촌을 이루어 살고 있다. 1989년에는 보령의 후손들이 송학리에 신도비를 세웠다.




상품 정보 고시

제품소재 상품페이지 참고
색상 상품페이지 참고
치수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자 상품페이지 참고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연월 상품페이지 참고
품질보증기준 상품페이지 참고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상품페이지 참고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배송정보

현재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동일 주문건에 대해서 수량 상관없이 3,000원 이며 주문금액이 100,000원 이상이면 무료 배송 됩니다.

배송지역이 도서 산간지역이거나 일반택배 부적합 상품의 경우 추가 배송비가 청구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담당자가 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옛날물건 쇼핑몰에서는 로젠택배를 이용 합니다.


주문 시 배송비 문제가 발생하면 옛날물건 담당자에게 전화 주십시오.

교환/반품

입력된 교환/반품 정보가 없습니다.

회사명 옛날물건 주소 경남 밀양시 중앙로 80-6 (가곡동)
사업자 등록번호 615-03-17906 대표 김동영 전화 010-3845-4358 팩스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03-14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김동영
Copyright © 2001-2013 옛날물건. All Rights Reserved.

전화문의

010-3845-4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