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이페이지 장바구니0

뒤로 석판본 조선후기 성주출신학자 성주이씨 이시함(李時馠) 농운선생실기(隴雲先生實紀) 1책완질 > 고서적

1 / 3

상품간략정보 및 구매기능

석판본 조선후기 성주출신학자 성주이씨 이시함(李時馠) 농운선생실기(隴雲先生實紀) 1책완질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위시리스트0
제조사 1990년
원산지 한국
판매가격 30,000원
포인트 300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 석판본 조선후기 성주출신학자 성주이씨 이시함(李時馠) 농운선생실기(隴雲先生實紀) 1책완질
    +0원
총 금액 : 30,000원
  • 상품 정보

    상품 상세설명

    상태좋음

    크기:19*27센치

    보외1층앵글45상6

    **조선 후기 성주에서 한강 정구에게 수학한 학자.

    본관은 성주(). 자()는 문원(), 호는 농운(). 이지활()의 후손으로, 고조할아버지는 통덕랑() 이명륜(), 증조할아버지는 생원() 이우(), 할아버지는 만호() 이한주()이다. 아버지는 군수() 이성업()이고, 어머니는 류동로()의 딸이다.

    이시함()[1575~1660]은 1575년(선조 8) 경상도 영천() 관동()[현 경상북도 고령군 관동면]에서 태어났다. 약관의 나이에 한강() 정구()의 문하에서 위기지학()[자기 자신의 인격 수양을 위한 학문]을 듣고 도학의 뜻을 지니게 되었고, 노극홍(), 김집(), 이현룡(), 이문룡(), 박공구() 등 당대의 명현들과 교유하였다.
    1607년(선조 40)에는 스승 한강을 모시고 장현광(), 곽재우() 등 도내 선비 35명과 함께 함안() 용화산() 아래 낙동강에서 뱃놀이를 즐겼다. 1610년(광해군 2)에 정구가 박이립()에게 무고를 당하자 김녕(), 이천봉() 등과 함께 궁궐의 문지기를 불러 그 원통함을 말하였다.
    아내의 상을 당하여 의심나는 예를 묻자 선생께서 조목별로 답했고, 스승이 세상을 뜨자 통곡하고 한결같은 정성으로 상례를 마쳤다. 스승을 위하는 일이면 반드시 참여하여 정성을 다하고 협심하여 일을 도모하였다. 1650년(효종 원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정자()에 제수되었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나아가지 않았다. 집안에서 몸과 마음을 수양하며 지내다가 세상을 떠났다.

    1990년 후손 이상렬()·이원희()가 엮은 『농운선생실기()』가 있다.

    경상북도 고령군 관동면 뒷산 남쪽 언덕에 있다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신곡 3리에 있는 상친사()에 배향하였다. 1955년 후손들이 학덕을 추모하여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자양리 금단 마을 북쪽 언덕에 모운재()를 건립하였다.

    상품 정보 고시

    제품소재 상품페이지 참고
    색상 상품페이지 참고
    치수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자 상품페이지 참고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연월 상품페이지 참고
    품질보증기준 상품페이지 참고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상품페이지 참고

옛날물건 정보

회사소개 개인정보 이용약관

회사명 옛날물건 주소 경남 밀양시 중앙로 80-6 (가곡동)
사업자 등록번호 615-03-17906
대표 김동영 전화 010-3845-4358 팩스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03-14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김동영
Copyright © 2001-2013 옛날물건.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