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창 金基昶 [1913.2.18~2001.1.23] > 문화산책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전화문의

010-3845-4358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없음

커뮤니티 최신글

접속자집계

오늘
2,125
어제
3,395
최대
6,502
전체
2,924,582

옛날물건 재고 현황

고서적
2,182,335,000원/10,194건
근대도서
2,244,954,973원/25,625건
근대시집
269,950,000원/2,116건
희귀고서적
832,780,000원/2,138건
교과서
271,660,000원/3,401건
간찰
51,230,000원/906건
한국미술품
391,002,500원/3,379건
일본미술품
942,210,000원/22,093건
중국미술품
507,738,000원/8,382건
기타
450,106,500원/7,520건
전체합계
8,143,966,973원/85,754건

작가소개 김기창 金基昶 [1913.2.18~2001.1.23]

페이지 정보

작성자옛날물건 댓글 0건 조회 1,444회 작성일 18-04-18 23:35

본문

김기창 金基昶 [1913.2.18~2001.1.23]

840c863215d4f36fd9822cf5df7da2c2_1524062097_351.jpg
 

호 : 운보 

활동분야 : 예술 

출생지 : 서울 종로구 운니동 

주요수상 : 5·16민족상(1986)·서울시문화상(1986)·색동회상(1987) 

주요저서 : 《침묵과 함께 예술과 함께》


서울 출생. 7세 때 장티푸스로 청각을 잃고, 17세에 승동(勝洞)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이당화숙(以堂畵塾)에서 김은호(金殷鎬)에게 그림을 배워 6개월만에 《판상도무(板上跳舞-널뛰기)》(1931)로 제10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처음 입선한 후, 연 5회의 입선과 연 4회 특선을 기록했다. 

《수조(水鳥)》(제11회), 《여인》(제12회), 《정청》(제13회), 《엽귀》(제14회), 《해녀》(제15회)로 입선, 《고담(古談)》(제16회), 《하일(夏日)》(제17회), 《고완》(제18회), 《여일(麗日)》(제19회)로 특선하여 추천작가가 되었다. 1946년에 우향 박래현과 결혼하였고, 1956년 국전 초대작가·심사위원·수도여자사범대학과 홍익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백양회(白陽會)의 중심인물로 활약하는 동시에 수많은 해외전을 가졌다. 

김기창의 작품은 대략 다섯 단계로, 초기의 사실적 작품을 그린 구상미술 시기, 예수의 일생을 한국인의 모습으로 담은 신앙화 시기, 구상미술에서 추상으로 변하는 전환기의 복덕방 연작 시기, 청록 및 바보산수화 시기, 그리고 말년의 추상미술 시기로 나눈다.산수·인물·화조·영모(翎毛)·풍속 등에 능하며, 형태의 대담한 생략과 왜곡으로 추상과 구상의 모든 영역을 망라하고, 활달하고 힘찬 붓놀림, 호탕하고 동적인 화풍으로 한국화에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였다. 

1만 원짜리 지폐에 세종대왕 얼굴을 그렸으며, 1993년 예술의 전당 전시회 때 하루에 1만 명이 입장한 진기록도 세웠다. 대표작으로 《가을》(1934) 《보리타작》(1956) 《새와 여인》(1963) 《소와 여인》(1965) 《태양을 먹은 새》(1968) 《나비의 꿈》(1968) 《군마도》(1970) 《웅(雄)》(1970) 《달밤》(1978) 등이 있다. 5·16민족상(1986)·서울시문화상(1986)·색동회상(1987)을 받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사명 옛날물건 주소 경남 밀양시 중앙로 80-6 (가곡동)
사업자 등록번호 615-03-17906 대표 김동영 전화 010-3845-4358 팩스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03-14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김동영
Copyright © 2001-2013 옛날물건. All Rights Reserved.

전화문의

010-3845-4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