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소개 강세황 姜世晃
페이지 정보
작성자옛날물건 댓글 0건 조회 1,539회 작성일 18-04-18 23:20본문
강세황 姜世晃 [1712~1791]
|
조선 후기의 문인·화가·평론가.
본관 : 진주
호 : 첨재·표옹·노죽·산향재·표암
별칭 : 자 광지, 시호 헌정
활동분야 : 미술·시·서예
주요작품 : 《첨재화보》 《벽오청서도》 《표현연화첩》 《송도기행첩》
본관 진주(晋州). 자 광지(光之). 호 첨재(添齋)·표옹(豹翁)·노죽(路竹)·산향재(山響齋)·표암(豹菴). 시호 헌정(憲靖). 어려서부터 재능이 뛰어나, 8세 때 시를 짓고, 13~14세 때는 글씨에 뛰어난 솜씨를 보여, 소년기에 쓴 글씨조차도 병풍을 만드는 사람이 있을 정도였다. 아버지의 사랑과 교육을 받았으며, 매형이었던 임정(任珽)의 영향도 크게 받았다. 처남 유경종 외에도 허필(許樣) ·이수봉(李壽鳳) 등과 절친하게 지냈으며, 이익·강희언 등과도 교유하였다. 당대의 유명한 화가였던 김홍도·신위 등도 그의 제자들이다.
벼슬에 뜻이 없어 젊은 시절에는 주로 작품활동에만 전념하였다. br> 이밖에도 진경산수화를 발전시켰고, 풍속화·인물화를 유행시켰으며, 새로운 서양화법을 수용하는 데도 기여하였다. 평생 동안 추구한 그의 서화의 세계는 궁극적으로 습기(習氣)도 속기(俗氣)도 없는 경지에 이르는 것이었다. 산수·화훼가 그림의 주소재였으며, 만년에는 묵죽으로 이름을 날렸다.
작품으로는 《첨재화보(添齋畵譜)》 《벽오청서도》 《표현연화첩》 《송도기행첩》 《삼청도》 《난죽도》 《피금정도》 《임왕서첩(臨王書帖)》 등이 있으며, 54세 때 쓴 《표옹자지(豹翁自誌)》에 있는 자화상을 비롯하여 7~8폭의 초상화를 남겼다.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